|
지난 4월 중국의 산업생산은 상하이 봉쇄 여파로 마이너스(-) 2.9%까지 떨어졌다가 5월 0.7%, 6월 3.9%로 반등하는 듯했지만 7월 다시 소폭 둔화했다. 하이난 등 중국 전역에 코로나19가 퍼지면서 많은 도시에서 공장 생산이 멈추고 수요가 줄어든데다 각 도시의 통제 정책으로 물류도 정체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 경제 성장에 중요한 동력인 소매판매 역시 7월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하는데 그쳐 시장 예상치인 5%는 물론 전월(3.1%)을 밑돌았다. 인프라 시설 투자가 반영된 고정자산투자는 1~7월 누적 기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하며 전망치인 6.2%를 하회했다. 7월 도시실업률은 5.4%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16~24세 청년실업률은 19.9%로 사상 최고치인 전달(19.3%)의 기록을 뛰어넘었다.
중국 정부는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결국 이날 정책금리를 인하하며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를 예고했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와 7일물 역(逆)환매조건부채권(RP·레포) 금리를 각각 0.1%포인트씩 인하해다. MLF는 2.75%, 역RP는 2.0%로 내려갔다. 인민은행이 이 두 정책금리를 낮춘 것은 지난 1월 이후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거듭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중국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컸다. 자칫하면 중국 내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어서다. 그럼에도 중국이 정책 금리를 전격적으로 낮춘 건 그만큼 중국의 경기가 좋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은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0.4%에 불과했고, 7월 지표도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한해 성장 목표인 ‘5.5% 안팎’을 달성하기 요원해졌다.
장지웨이 핀포인트자산운용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도시에서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고 부동산 시장의 심리가 악화하면서 내수가 부진한 상황”이라며 “인민은행의 정책 금리 인하는 올바른 방향으로의 한 걸음을 내디딘 것이지만 통화정책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부동산 부문 및 제로코로나 정책 등도 새롭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