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22일 ‘한미정상회담 평가: 북한 비핵화, 대북 억지력 강화, 한미 전략적 협력’ 분석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정 센터장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 한미 간에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과 대북 정책에서 큰 이견이 존재했지만,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와 한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협의 과정에서 이견이 상당히 좁혀진 것으로 보인다.
사실 바이든 행정부 핵심 관계자들은 애초에 트럼프-김정은 정상회담에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한미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북미간 싱가포르 공동성명 원칙 등 기존 합의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
하지만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 협상의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까지는 합의하지 못했다. 정 센터장은 “바이든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북한으로부터 비핵화에 대한 약속이 있어야 북미 정상회담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여 트럼프와는 다른 대북 접근법을 취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분석했다.
또 “6자회담 추진 등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까지는 합의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면서 “북한이 다시 비핵화 협상 테이블에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한미 정상은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데 동의했다”는 정도의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표현을 사용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초기의 매우 강경했던 입장에서 벗어나 유연한 입장으로 전환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러나 정 센터장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가 미사일 지침 종료에 합의함으로써 한국의 미사일 개발 관련 제약이 사라진 것에 대해 북한은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면서 “따라서 북한이 이번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