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미 연준리가 전례 없이 공격적인 금리인하를 단행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시장은 금리인하폭을 놓고 26~27일 예정돼 있는 연준리 공개시장위원회 회의결과를 주의깊게 지켜보고 있다.
금리인하 효과에 대한 의구심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내에서도 높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우려하고 있는 것은 경제 회복이 너무 늦게 시작되고 있고 아무리 금융정책을 완화해도 진척상황이 지지부진 하다는 것이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 경제사이클은 소비부문에 의존하기보다 산업부문에 의존도가 높아진 상태인데 현재 산업부문은 과잉생산과 재고축적으로 설비투자를 급격히 줄이고 있고 소비자들도 소비를 줄이고 있다.
연준리의 걱정은 금리인하와 기업투자와의 관계가 금융완화와 소비의 관계만큼 명확하지 못하다는데 있다. 연준리가 단기금리를 내리면 모기지나 자동차 대출이 더 매력을 갖게 되고 자연스럽게 개인들은 대출과 소비를 늘리게 된다. 그리고 개인소비는 GDP의 3분의 2를 차지하기 때문에 경제는 회복을 시작한다.
그러나 기업부분의 부진으로 야기된 경제둔화는 적용이 좀 어렵다. 금리가 인하되면 기업들도 이윤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만 전망이 불투명하거나 이미 투자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금융조건이 아무리 좋아져도 설비를 늘릴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연준리가 바라고 있는 것은 금융완화가 재고축적 문제와 잉여설비 문제를 모두 흡수하는 것이다.
연준리가 바라는 상황이 결국에는 오겠지만 문제는 이것이 경제학자들의 예상보다 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는데 있다.
이코노미닷컴의 수석 연구원인 웨스트체스터는 "언제 연준리의 금융완화가 효력을 발휘할 지 확신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금리인하를 공격적으로 지속할 수 없다는 것에는 물론 인플레이션 문제가 있다. 현재 경제상황은 25bp 보다는 인플레이션에 좀더 부담을 줄 수 있는 50bp를 요구하고 있다.
물론 상황이 절망적인 것은 아니다. 급격한 회복은 아니겠지만 기술 부문은 자력으로 회생할 수 있을 것이며 새로운 기술도 도입될 것이다. 게다가 기술 부문이 시의 적절하게 재고 문제를 정리하고 있어 마음만 먹으면 다시 투자를 신속하게 늘릴 수도 있다.
금리인하 효과는 첨단산업 이외의 부문에서 더 큰 효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서서히 약발을 받는 모습이다. 이것이 기술 부분의 심각한 상황을 완전히 만회할 수는 없지만 신경제권의 불황이 확산되기 이전에 구경제가 살아난다면 연준리의 금리인하는 성공을 거두게 된다.
퍼스트유니온캐피탈마켓의 수석 연구원인 데이비드 오르는 "연준리가 무능하다는 소리는 불황때마다 터져 나왔지만 그것이 맞았던 적은 한번도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