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방경찰청 내 117학교폭력 신고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사 A씨는 3일 이데일리에 이같이 털어놨다.
117학교폭력 신고센터는 2012년에 여성가족부와 교육부, 경찰청이 합동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피해 예방을 위해 서울경찰청을 포함한 전국 17개 지방경찰청에 설치했다.
근무자는 학교폭력상담사, 청소년 지도사, 심리상담사 등의 자격을 보유한 청소년 전문 상담가들인데 이들 모두 소속이 다르다. 3명은 경찰청 소속 공무원이고 나머지 3명은 교육부 소속 상담사, 2명은 여성가족부 소속 상담사다. 제주(경찰청 3명+교육부 3명+여가부 1명)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선 총 8명이 4조 2교대로 주·야간 근무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무기계약직으로 11년째 근무해온 A씨는 “보수가 터무니없이 적었지만,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가 생소한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안심할 수 있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에 큰 보람을 느끼며 계속해왔다”면서 “청약에 당첨돼 입주를 2주 앞뒀는데, 이런 일이 생겨 눈앞이 캄캄하다. 가족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
4조 2교대로 돌아가던 24시간 상담시스템도 여가부가 발을 빼며 비상이 걸린 상태다. 경찰청과 교육부 인력 6명으로 4조 2교대를 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가부는 8월 관련 예산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7월에 관계부처와 협의했다고 밝혔지만, 담당자들은 처음 듣는 얘기라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렇다 보니 현장에선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신규 사업은 자살·자해를 시도하는 고위기 청소년과 부모 등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다. 117학교폭력 신고센터 상담사들이 맡아온 상담분야와는 크게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 등을 필요 로하거나 향후 요구될 수 있어 결국 여가부 117상담사의 근무 전환은 말뿐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A씨는 “여가부에서 의미있는 운영 사업이 정말 많다”며 “현장에서 묵묵히 일하는 분들 정말 많다는 점을 다시 한번 기억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