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국내 보톡스 관련 기업은 10곳이 넘는다. 동물사료 기업, 치과용 임플란트 기업도 보톡스 사업을 하겠다고 뛰어든다. 업계에서는 균을 관리할 의무가 있는 질병관리본부가 일을 제대로 안 하다 보니 너도나도 뛰어드는 모양새라고 지적한다. 보톡스균은 발견 즉시 질본에 신고를 해야 하고 질본은 현지실사를 진행한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이 과정이 불법이 합법화하는 단계로 변질됐다. 그동안 대다수 국내 업체는 모두 자체적으로 확보했다고 질본에 신고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믿는 업계 관계자는 거의 없다. 질본이 허술하게 관리하니 불명확한 방법으로 균을 확보해 질본의 허가만 얻으면 정식으로 균을 확보한 것으로 간주, 상용화의 걸림돌이 없어지는 것이다. 업계에는 ‘균주 브로커’가 있다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다. 4억원 정도면 균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도 떠돈다.
썩은 소시지나 상한 통조림, 오염된 흙 등 산소가 없는 혐기성 환경에서 자라는 보톡스균을 눈 덮인 산속 흙에서 찾았다는 기업도 있고, 부패한 통조림에서 균을 찾았다고 신고했다가 나중에 폐기처분하는 음식물을 수거해 부패시켜 균을 배양해 찾았다고 말을 바꾼 회사도 있다. 모두 과학적으로 충분히 의심이 가는 상황이지만 질본도 전문가들도 누구하나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이쯤 되면 질본은 생화학 테러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맹독균을 관리하는 기관인지 보톡스를 국가 미래 먹거리로 적극 장려하는 기관인지 입장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