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대규모 신도시를 조성하게 되면 개발기대감으로 집값·땅값이 다시 오를 수 있는 데다 건설기간이 길어 당장의 집값 상승을 꺾기엔 한계가 있다는 현실적 판단이 작용했다. 또 강남을 대체할 수 있는 지역에 적당한 후보지를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는 미니신도시를 공영개발 방식으로 조성할 방침인데 사업시행을 주택공사가 맡아 분양 또는 임대하는 방식이다. `미니신도시` 부지로는 토지 매입 부담이 적은 군시설과 공공기관 이전부지가 검토되고 있다. 특히 군시설은 국공유지여서 땅 매입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의 반대도 넘어야 할 산이다. 경기도는 최근 인구과밀을 이유로 `미니신도시` 조성에 반대하고 나섰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공공기관 이전부지에 미니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은 수도권 과밀을 부추길 뿐"이라며 "해당 지자체의 실정과 입지여건 등을 감안해 정부가 해당 지자체에 양여·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재 미니신도시 조성지역으로 거론되는 곳은 ▲군시설 ▲공공기관 이전부지 ▲강남주변 그린벨트 등이다. 우선 군시설로는 서울 송파구 장지동 남성대골프장(24만평), 거여동 국군특전사(58만평), 서초구 서초동 국군정보사 터(5.5만평) 등이다. 특히 남성대골프장과 특전사 부지는 연계 개발할 경우 80만평 규모의 신도시 조성이 가능하다.
강남주변 그린벨트로는 정부가 국민임대주택단지로 지정한 강남구 세곡동(0.8만평), 서초구 우면동(14.8만평), 송파구 마천동(6.5만평), 강동구 강일동(17.8만평) 등이 1순위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