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전국에 311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23일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세운 주택 공급 계획(206만가구)보다 105만가구를 늘렸다. 서울에선 문재인 정부 계획(59만가구)에서 48만가구를 더해 107만가구 공급을 공약했다. 지난해 서울 가구 수가 약 398만가구인데 이 후보 공약대로면 27%가 늘어나는 셈이다.
이 후보는 서울에선 공공택지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 후보가 추가 공급하겠다는 서울 48만가구 중 28만가구가 공공택지다. 이 후보는 기존에 도심 공급을 위해 4종 주거지를 신설, 최고 500%까지 용적률을 허용하겠다는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비사업으로 인한 공급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신속한 공급을 위해 다소 무리가 있더라도 공공택지 개발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후보는 “시장에서 아마 이렇게하면 (공급 과잉이 돼) 집값 떨어지겠다고 하겠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무주택자의 꿈을 이루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반드시 내집마련의 꿈을 위해 대량 공급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
문제는 갈등 조정이다. 이 후보가 개발을 공약한 공공택지 후보엔 용산공원 부지 일부와 그 주변(10만가구), 김포공항 주변 부지(8만가구) 등이 포함됐다.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단체에선 일찌감치 이들 부지 개발 반대를 표명했다. 주민 생활과 지역 발전에 필요한 인프라라는 이유에서다. 문화재 경관 훼손 논란이 일었던 서울 노원구 태릉 인근 역시 주택 공급 확대 대상에 포함됐다.
민주당에서도 이런 반대를 의식, 전면 개발 대신 주변 개발로 물러섰지만 여론을 달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또한 용산에 공급하는 공공주택은 전량 청년주택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분양가를 억누르면 분양받은 사람 입장만 분양 차익을 누리는 ‘로또 아파트’ 논란도 심화할 수 있다. 이런 지적에 이 후보는 “시장에서 과도하게 가격이 형성돼 있는 것이지 적정 가격을 보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며 “공공이 민간 토지를 강제 수용해서 공공 택지를 조성하는 만큼 당연히 국민께 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공약에선 재개발·재건축 억제, 대출 규제로 대변되는 문재인 정부와의 정책 차별화도 눈에 띈다. 이 후보는 공급 측면에선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해 서울에 10만가구를 추가 공급하겠다고 했다. 다만 현재 서울 정비사업장당 평균 공급량이 600~700가구 정도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목표를 크게 잡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후보는 또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겐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대출 한도÷담보 가치)을 90%까지 인정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에 “부인할 수 없는 정책 실패”라며 고개를 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