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관심이 한반도에 쏠리면서 북한이 긴장을 높이는 돌발행동하기 부담스럽고, 우리 정부도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 더 커지게 됐다는 관측이다.
◇ 88올림픽 상황과 비슷..北 위협 느낄수도
한반도의 현 정세는 지난 88년 서울 올림픽 유치에 성공했을 당시와 엇비슷하다.
북한은 서울올림픽 유치(81년) 확정 전인 80년에 김정일을 후계자로 공식화했다. 그의 아들 김정은이 지난해 후계자로 떠오른 것과 같은 상황이다.
김정일은 후계자 시절 체제 경쟁에서 우위를 뽐낸 남한의 `서울올림픽`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들 역시 `평창 동계올림픽` 부담을 이겨야 하는 환경이 다시 만들어지고 있는 것.
◇단일팀 구성·금강산 분산개최등 논의될듯
북한이 물리적 도발을 감행하는 것은 최악의 선택이다. 전문가들은 천안함 사건 이후 형성된 신(新)냉전식 대결구도가 완화될 가능성을 더 크게 보고 있다.
남북관계 악화의 영향으로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북한의 지지는 없었다.
하지만 지난 2003년과 2007년 장웅 북한 IOC위원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면서 남북 단일팀 구성도 가능하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단일팀 구성이 아니더라도 동계올림픽이라는 이벤트가 남북관계 진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정부관계자는 당장 지지표명 형태의 교류협력은 물 건너갔지만, 아직 경기개최까지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어떤 형태의 교류가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6자회담에 긍정적..`대북 접근방식` 변화 주목
중국 등 북한 우방국들도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만큼 한반도 정세 안정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북핵 문제에 실질적인 진전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여론이 높아지면서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환경이 조성되는데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정부 역시 이번 동계올림픽 유치로 높아진 국제사회의 위상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더 유연한 대북 접근을 시도하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조만간 단행할 것으로 알려진 개각에서도 남북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유연한 인물로 통일부 장관이 교체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