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이 3년만에 최고치인 11.7%에 달할 전망이라며 이같은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중국은 통화정책의 `마이웨이(My way)`를 고수하고 있지만 나라밖에선 위안 절상과 금리인상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위안절상·금리인상 필요성 더 커져"
블룸버그가 24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전년동기비 11.7%다. 3월중 산업생산은 18.2% 증가하고 소매판매도 18%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은 1년전 보다 큰 폭으로 확장했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성장률이 미국발 금융위기와 경기후퇴의 충격으로 10년래 가장 약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이 정도 성장세라면 위안절상과 금리인상의 필요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성장세가 강화되고 국제적 여론이 고조되고 있는 지금이 위안을 절상하기 적절한 시기"라는 UBS의 이코노미스트 왕 타오의 인터뷰도 곁들였다.
◇ 정책조합별 시나리오 1호
사실 중국 경제가 안고 있는 최대 불안요인은 부동산 부문의 거품이다. 지난주 중국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의 상업용·일반주택의 1㎡당 가격은 2만5010위안으로 1년전 보다 128% 뛰었다. 시중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고 대박을 노린 부동산 시행업체의 땅투기가 대도시의 집값을 천정부지로 끌어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당국으로선 자산거품 제거를 위해 칼을 빼들어야 할 지 심사숙고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관심을 모으는 환율과 금리정책만 놓고 보면 세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 시나리오 2~3호
두번째 시나리오는 위안절상과 금리인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위안화를 절상하면 수입물가가 낮아져 인플레이션 진정효과를 내기 마련이다.
이 경우 굳이 금리인상까지 동원해 경제주체들에 충격을 줄 필요가 있을까하는 당국의 고민이 반영될 수 있다. 위안 절상을 미루고 금리를 먼저 올리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고민이 담겨질 수 있다.
세번째 시나리오는 금리도 올리고 위안도 절상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이뤄지겠지만 두개의 칼을 동시에 뽑아들 경우는 부동산 거품과 경기과열에 대한 당국의 우려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반증이다.
이 경우 금리인상과 위안절상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을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