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16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구룡마을은 1970~1980년대 각종 공공사업으로 생활터전을 상실한 철거민들과 갈 곳 없는 부랑자들이 집단촌락을 형성한 곳이다. 현재는 약 1100여가구가 살고 있는데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화재 및 풍수해 등 재해에 노출돼 있고 오·폐수 및 쓰레기 등으로 생활환경도 극히 열악했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이 일대를 정비하고 판자촌 주민들에게 더욱 나은 생활터전을 만들어준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강남구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인 만큼 개발권한과 개발방식을 놓고 강남구, 일부 토지주간 갈등이 발생했다. 강남구는 토지를 공공에서 돈으로 사서 개발하는 수용·사용 방식을 추진해 왔고, 토지주들은 토지주가 주도하는 민영 방식의 개발을 요구한 것이다. 서울시는 처음에는 토지주의 의견을 일부 수용했지만 지난 2014년 말 강남구의 주장대로 공영 개발을 하기로 했다.
그러나 서울시의 결정에도 여전히 토지주와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잦아들지 않으면서 구룡마을 개발안은 좀처럼 마지막 관문을 통과하지 못한 채 장기간 논의를 거듭해왔다. 이번 도시계획위원회 통과도 지난 8월 이후 네 번째 상정된 끝에 이뤄졌다. 겨울이 다가오면서 주민들의 이주 필요성이 커지고 강남구와 토지주 간의 법정분쟁도 강남구 쪽 승리로 결론이 나면서 도시계획위원들이 서울시의 손을 들어줬다.
아파트는 분양 물량 1585가구, 임대아파트는 1107가구로 분양과 임대 가구를 한 건물에 섞어 배치하는 소셜믹스로 이뤄진다. 임대아파트에는 구룡마을 거주민들이 이주한다. SH공사는 구룡마을 거주민들의 이주가 끝난 뒤 남은 잔여 임대아파트는 분양 전환할 계획이다.
아파트는 기존의 획일적인 판상형 중고층 아파트 배치에서 탈피해 양재대로변은 도시 대응형 고층 아파트(35층)를, 대모산과 구룡산 인접 지역은 자연 대응형 저층 아파트(5층)를 지을 계획이다. 아울러 건축 마스터플랜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센터, 재활용센터, 마을공방, 공동작업장, 공동식당 등 자족 기능과 소득창출이 가능한 일자리 창출 공간을 계획했다. 또 거주민들을 위한 마을카페, 공동체 텃밭, 도서관, 주민체육시설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도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룡마을 개발사업은 사업취소로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 어렵게 이뤄낸 결실인 만큼 향후 사업시행 단계에서도 자치구, 거주민, 토지주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할 계획”이라며 “내년도 실시계획인가, 2018년 착공, 2020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나 가급적 추진일정을 단축해 사업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