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토연구원이 발간한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구조와 주택시장 분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는 전반적으로 위험선호 성향이 강해 투자에 적극적이고, 그 중 비교적 안전하다고 느끼는 주택 자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젊은 층의 투자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천규 국토연 연구위원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젊을수록 위험 선호 성향이 강해 주택 등 자산시장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거주 만 19~64세 성인의 자산 배분을 보면 위험자산에 66.54%, 무위험자산에 33.46%를 배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자산은 서울 아파트 60.34%, 주식 6.21%로 나뉜다.
|
특히 보고서는 이 같은 위험 선호 성향이 젊을수록 강하기 때문에, 주택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은퇴계층인 베이비부머 세대는 주택 수요 유지 또는 주택 추가구매 경향(다주택)이 강하고, 젊은 층도 생애주기에 따른 주택소비보다 더 많은 주택소비 코호트(세대, 집단)가 있어 이런 부분이 주택수급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에 따라 가구원 수가 줄어들더라도 코호트 효과에 따라 주택수요가 유지 또는 증가할 수 있다”며 “주택수요 전망에서 가구주 코호트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집값은 하방경직적인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방경직성이 강해 집값이 떨어질 가능성이 적다는 뜻이다. 박 연구위원은 “수도권과 서울 아파트시장에서의 군집행동을 분석한 결과 주택가격은 손실기피행위 때문에 하방경직적이고, 주택시장의 쏠림현상은 상승기에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주택구매소비자의 의사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세분화되고 있는 점을 반영해 시장 분석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