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 출신의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통령은 대한민국 최고의 외교관이어야 하고, 대통령의 말, 행동, 제스쳐, 의전 모든 게 중요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외교 무대에서는 정제된 내용만을 말하고 정책도 그에 기반하는 데 ‘외교적 참사’가 반복된다는 것은 실무진의 실수라고 보기 어렵다”고 현 정부 외교 시스템 전반에 문제를 제기했다.
|
홍 의원은 1991년 행정고시 35회로 재경직에 입문해 경제부처에서 근무했다. 1997년 IMF 외환위기 사태 이후에 외교부로 전직해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무역규범과장, 주중국대사관 참사관, 터키 이스탄불 총영사,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외교 무대에서 20여 년 간 활동한 홍 의원은 “현 정부의 외교는 그야말로 ‘낙제점’”이라고 평가했다. 강대국 사이에 놓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보지 못한 채 한쪽에 치우쳐 진영대결을 자초했다는 분석이다. 문재인 정부는 전략적 모호성 기조를 유지했으나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며 친미(親美) 노선의 가치외교, 진영외교 기조가 강해졌다. 홍 의원은 이를 두고 “방향이 완전히 잘못됐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 의원은 “자유와 인권은 중요한 가치이긴 하지만 국익보다 앞서는 기본 외교정책이 되면 곤란하다”며 “우리나라같이 지정학적으로 어려운 위치에 있는 나라는 (이분법을) 조심해야 하고 신중해야 하는데 그 부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 정부에서 진영외교가 강화되는 이유로 대통령 개인의 특성을 꼽았다. 홍 의원은 “검사가 대하는 사람은 죄가 있거나 없거나 둘 중 하나”라며 “지금 대통령은 미국, 일본은 우리에게 좋은 나라,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은 안 좋은 나라라는 식의 관념이 무의식 중에 박혀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단정적 태도를 지양해야 하는 외교의 장에서 윤 대통령의 이분법적 사고가 독이 된다는 비판이다.
그는 외교의 목표는 ‘한반도 평화’임을 거듭 강조했다. 홍 의원은 이 원칙을 현 정부가 전혀 지키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위기를 고조시키는 언행이나 정책을 하고 있다. 그렇게 해야 북한이 도발하지 않는다는 생각인 것 같은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
30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치고 보수세가 강한 평택에 출마해 21대 국회에 입성한 홍 의원은 정치 입문 계기에 대해 “여러 나라에서 외교관을 하면서 자연적으로 ‘정치의 수준이 국가 발전의 수준과 거의 비례한다’는 것을 느꼈다”며 “정치가 잘 돼야 국가가 잘되고 국민의 생활이 좀 더 나아진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의원 개인을 보면 과로할 정도로 일을 열심히 하고 국가 발전이나 민생을 조금 더 낫게 만들려는 의욕도 강한데 국민에게는 전혀 그렇게 안 비친다”며 “그 괴리가 왜 그렇게 큰지 들어와서 알게 됐다”고 말했다. 현행 선거제도와 정당정치 시스템이 국민보다는 공천권자의 눈치만 보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는 남은 임기 동안 선거제도 개혁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한편 홍 의원은 지역에 대한 애정도 끊임없이 드러냈다. 취임 직후부터 쌍용차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한 그는 “새로운 주인을 만나 다시 기회가 생기도록 노력했는데 최근 좋은 결실을 얻었다”며 웃었다. 다만 그는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현재의 설비로는 곤란하다. 공장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며 “첨단 설비, 친환경 자동차 생산 방향으로 탈바꿈하면 쌍용차가 다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을 것”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