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사실상 정부가 기업을 상대로 기부금을 짜낸 꼴”이라며 “사업의 투명성 확대 등 신뢰성을 끌어올려 국민들의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지적했다.
기업 기부금이 전체의 70%
27일 청년희망재단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달 24일 현재 청년희망펀드의 누적 기부금액은 116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기업이 청년희망펀드에 직접 전달한 금액은 전체의 71.1%인 831억원에 달한다. 지난 9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이 1호 기부자로 참여한 청년희망펀드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돈을 국민 기부로 마련해보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청년희망재단 관계자는 “공익 신탁으로 기부금을 모으기로 한 원래 취지를 고려하면 기업들도 은행 창구에서 공익 신탁 계좌에 가입해 기부해야 한다”며 “다만 기업이 직원을 대행해 기부금을 내거나 기업 오너가 개인 자격으로 기부금을 낼 땐 전용계좌를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래는 기업 돈을 안 받기로 했지만 기업 오너가 개인 자격으로 내거나 기업이 직원들의 기부금을 모아 내는 건 달리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청년희망펀드 관심도 시들
금융권에선 정부가 추진한 청년희망펀드에 대해 뒷말이 무성하다. 국민들 사이에 공감대가 퍼져 자발적 기부가 이뤄지기보단 정부 눈치 보기에 급급한 기업과 금융권의 팔을 비틀어 만들어 낸 성과 아니냐는 것이다.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도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관심도 급격히 시들해지고 있다. 펀드 설립 초기인 지난 9월만 해도 공익 신탁을 통한 기부건수는 5만여 건에 달했지만 이달엔 6200여 건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권에선 청년희망펀드가 도입 취지를 살리려면 하루빨리 자금을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신뢰성을 더욱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윤석현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가 대대적으로 기부금을 모은 만큼 사업의 투명성을 확보해 어떤 사업을 추진할 것지를 큰 틀에서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