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자산 손실을 당장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회계처리 지침을 마련키로 했지만, 입주기업들은 언젠가는 이 손실을 반영할 수 밖에 없다. 기계장치와 같은 유형자산은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세워두면 기계의 기능이 예전만 못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금으로선 남북한이 극적으로 분위기를 전환시켜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거나 북측으로부터 자산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희박하기 때문에 대규모 유형자산과 재고자산 손실을 언젠가는 재무제표상에 반영하는 게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해당 기업이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개별 기업에서 발생하는 자산손실을 추후에 스스로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만 설명하고 있다. 당장 2015년 결산 재무제표와 올해 1분기 재무제표에선 재무제표 주석에만 예상 손실액을 기록한 뒤 이후부터는 개별 기업에서 실제로 손실이 발생하는 정도를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자산손실의 정도와 규모는 회사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손실규모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게 되면 기업별로 반영해야 할 것”이라며 설명했다. 갑작스럽게 대규모 손실을 반영하게 되는 `회계절벽` 현상은 막았지만 위험 자체는 사라진 것이 아니며 계속 잠복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 시중은행 재무담당 임원은 “개성공단 입주기업 가운데 개성에 대부분의 생산설비가 있는 기업들은 추가 대출을 한다고 해도 이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사실상 상실됐다고 봐야 한다”며 “시중은행 입장에선 대출해주는 족족 손실로 반영하게 되므로 정부가 보증해주지 않는 이상 추가 대출을 해주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 [단독]개성공단 입주사, 자산손실 곧바로 반영 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