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선 가능한 큰 망원경이 필요했다. 망원경이 클수록 천체에서 더 많은 빛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분해능(해상도)이 좋다.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망원경을 구상해 냈다. 지구 상에서 가장 큰 망원경은 바로 지구 크기의 망원경일 것이다. 물론 물리적으로 지구 만한 크기의 망원경은 불가능하다. ‘간섭계’라는 시스템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가상 망원경이 등장한 이유다.
|
이처럼 지구의 자전을 이용해 합성하는 기술로 1.3밀리미터 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거대한 지구 규모의 망원경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런 가상 망원경을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라고 한다. EHT의 공간 분해능(해상도)은 파리의 카페에서 뉴욕에 있는 신문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정도의 분해능이다.
|
이보다 앞서 지난 2016년에 미국 과학자들은 블랙홀 간 충돌의 흔적인 중력파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고 이듬해 바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지난 1916년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파라는 성질을 예측한다. 아인슈타인의 중력 방정식을 쉽게 풀이하자면 중력이 있다면 그 근방에서의 시공간이 휘어진다는 것이다. 보자기를 펼쳐 그 위에 구슬 올려놓은 모습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력에 변화가 있다면 시공간의 휘어짐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다. 시공간의 곡률(휘어짐)이 변하면서 생기는 울림이 바로 중력파라는 것이다.
*편집자주: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그 중요성은 점차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기초과학은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져 피하고 싶은 것도 사실이다. 기초과학의 세계에 쉽고 재미있게 발을 들여 보자는 취지로 매주 연재 기사를 게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전국 초·중·고등학생 대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인 ‘다들배움’에서 강사로 활동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들과 매주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중 재밌는 내용들을 간추려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김연호 과학커뮤니케이터 “삶과 동떨어진 천문학, 삶에 녹이고 싶다”
김 과학커뮤니케이터는 궁극적으로 ‘코스모스(COSMOS)’로 유명한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처럼 천문학의 대중화에 나서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 과학커뮤니케이터는 중력파 검출 성과로 지난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킵 손(Kip S. Thorne)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명예교수의 방한이 자신이 과학커뮤니케이터가 되기로 결심한 큰 계기였다고 돌아봤다.
그는 “지난 2015년 중력파가 발견되기 전 킵 손 교수가 방한했을 때 강연한 녹음파일을 아직도 들고 다닌다”며 “‘인터스텔라의 과학’이라는 주제였는데 어린 학생들에게는 동기기부여를, 성인들에게는 과학에 대한 열정을 되새기는 강의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 이후 제 연구를 잘 모르는 대중들과 흥미롭게 소통할 수 있는 과학 대중화에 관심을 갖게 됐다”며 “페임랩 대회를 통해 좋은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성장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 대회에 지원해 결국 과학커뮤니케이터가 됐다”고 덧붙였다.
김 과학커뮤니케이터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기존 과학커뮤니케이터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과학대중화의 소외지역인 비수도권 대중들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도 피력했다.
그는 “다들배움, 사이언스 버스킹, 사이언스 나이트 라이브(Science Night Live)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기획·운영하면서 독자적인 콘텐츠도 만들어 보고 싶다”며 “특히 제 학교가 있는 호남권은 성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콘텐츠가 전무하다시피 하기 때문에 호남권을 포함한 비수도권 지역의 대중들도 즐길 수 있는 과학행사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며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 천문학에 대해 나눌 기회들이 정말 기대된다”고 얘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