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이러한 적벽돌 건물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서울시와 성동구가 성수동의 붉은 벽돌 밀집지역인 서울숲길 인근을 ‘붉은벽돌마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정해 지역 건축자산으로 보전하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성수동은 주택들 뿐 아니라 적벽돌로 지어진 공장, 창고 등의 산업시설도 많이 분포해 있는데 사용연령이 50년 이상인 적벽돌 건물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적벽돌 건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75% 이상이 찬성, 참여의 의사를 밝혔고 사업설명회까지 개최하는 등 도시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민·관을 아울러 싹트는 분위기다.
적벽돌의 역사는 우리의 근대화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적벽돌은 건축재료로서는 ‘점토벽돌’이라 불리는데 말 그대로 흙을 구워낸 벽돌인 셈이다. 일제 강점기 이전 점토벽돌은 건축재료 중 가장 고급이었다. 현대인들이 ‘전벽돌’이라 부르는 짙은 회색의 벽돌이 주를 이뤘는데, 백토 반죽에 탄가루를 섞어 색을 내고 이를 한 장 한 장 가마에 구워 낸 재료이다 보니 주로 궁궐이나 사대부의 집에 담장과 기둥사이 벽체를 구성하는 데 한정돼 사용됐다. 고급재료였던 전벽돌이 지금의 적벽돌로 보편화되는데는 ‘가마’의 기술 보급이 결정적이었는데, 일제 강점기를 전후해 약현성당, 명동성당 등의 종교건축이 선교사들에 의해 지어지게 되면서 대규모로 벽돌을 구워내는 가마 기술까지 같이 들어오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1892년 명동성당 착공을 시작으로 적벽돌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건축재료 중 하나가 됐다.
적벽돌의 대량생산을 기준으로, 이전 시대는 한옥의 시대였다. 한옥은 현대에 이르기 까지도 우리 건축의 ‘전통적’ 혹은 ‘한국적’ 이라는 타이틀을 놓친 적 없다. 이는 한옥의 건축적, 문화적 가치가 압도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 이후 한국 건축의 정체성을 규정할 만한 유형적 특성이 생산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건축이 구성하는 도시 경관의 정체성은 국가별 ‘관광공사’ 따위의 기관에서 억지로 만들어 내는 슬로건이 아니다. 그리스 산토리니의 백색 회벽, 런던의 화강석 건물들, 스페인의 붉은 기와는 ‘계획된’ 것이 아닌 ‘자연발생적’인 도시의 색이다. 다시 말하면, 도시의 색을 규정할 때 우리는 애써 ‘멋진 것’을 골라 낼 필요가 없음을 뜻한다. 도시의 과거와 역사를 대변하는 ‘존재’의 자연스러움은 도시 경관의 정체성이 지녀야 할 최고의 덕목인 것이다.
일부 선진국들은 주요 도심의 건축물들을 정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기도 한다. 특히 영국이 가장 강력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데, 30년 이상 된 건축물들에 대해서 그레이드(Grade) 1~3으로 분류,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이렇게 분류된 건축물 혹은 지역은 각각 역사적 가치기준이 부여돼 이를 엄격히 심의하는 관계기관의 승인을 얻기 전까진 함부로 재료와 구조를 바꿀 수 없게 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프로그램에 동참하는 소유자에게는 큰 혜택으로 보답한다.
|
- 현(現) Architects H2L 대표
- 현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겸임교수
- 건축사/건축학박사/미국 친환경기술사(LEED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