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인상과 유럽중앙은행(ECB) 양적완화 종료 등 주요국의 긴축적 통화정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통화정책은 단순히 풀었던 돈을 회수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정책을 통해 회복하던 경제가 민간경제를 통한 경기성장으로 변화하는 정상화 과정에 들어간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최광혁
이베스트투자증권(078020) 연구원은 12일 “양적완화 종료나 기준금리 인상이 굉장히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면서도 “통화 정상화는 단순히 중앙은행의 긴축만을 가지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금융위기 이후 정책의 틀은 통화 확장을 위해 시장 심리를 안정시키거나 시중은행 규제를 강화해 안정성을 높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뤄졌다. 그는 “정상화 과정에서는 두 가지 정책 모두 되돌림 과정을 겪을 것”이라며 “단순히 통화 회수가 아닌 민간은행 규제 완화가 동시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이 같은 변화의 과정이 미국에서는 도드-프랑크 법안 완화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전성 확보 측면에서 국가 재정에서도 많은 작업들이 진행됐고 이제는 정부의 재정정책도 확대되는 국면에 들어설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2014년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2015년부터 재정적자가 확대되는 한편 올해 민간은행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양상이다.
유로존 내 양적완화 종료를 앞두고 포퓰리즘 정당이나 극우정당이 득세를 하는 것도 재정정책 긴축에 대한 반작용이라는 판단이다. 독일과 네덜란드 등 재정흑자 국가는 연간 재정지출 확대를 발표하고 있다. 그는 “이탈리아의 반 유럽연합(EU) 행보도 유의해서 살펴야겠지만 중요한 것은 양적완화 종료를 앞둔 시점에 유로존 내에서도 조금씩 재정확대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로존 경기 우려가 높아지고 양적완화 종료에도 유로화 강세가 이어지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지만 유로화는 강세를 나타내고 달러화는 상대적으로 약세구간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최 연구원은 “이미 전환된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보다는 양적완화 종료를 시작으로 한 입장 전환이 더 큰 이슈”라며 “유로존 경기 하락 가능성도 아직은 높지 않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