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럼에선 △현행 제도 대비 높은 탈수급률과 근로 촉진 효과 △디딤돌소득의 생산적 활용 효과 △자산형성 증가 등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디딤돌소득 분석 결과에 따르면 2년차 지원자의 탈수급률은 132가구로 8.6%에 달했다. 이는 1년차 23가구(4.8%)보다 3.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현행 제도 대비 높은 탈수급률이 다시 한번 확인돼, 디딤돌소득이 자립의 발판이 되고 있다는 점이 입증됐다. 지원받은 가구의 31.1%(476가구)는 근로소득이 늘어났다. 1차년도 21.8%(104가구) 대비 9.3%포인트 높아지면서 근로유인 효과가 약한 현행 제도의 단점을 보완했다는 평가다. 일을 하지 않는 ‘비(非)근로가구’의 근로유인 효과도 관찰됐다. 일을 하지 않는 가구 중 디딤돌소득을 수령 후 근로를 시작한 비율은 비교가구 대비 3.6%포인트 높았다.
디딤돌소득을 받은 가구들은 지원금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와 미취학 아동이 있는 가구는 늘어난 소득으로 일하는 시간은 조금 줄이고 그 시간을 돌봄에 할애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구주가 여성일 경우엔 이러한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디딤돌소득이 경제적 압박으로 돌봄이 부족했던 가구에 큰 도움을 줬다는 분석된다. 여기에 교육훈련비를 비교 가구 대비 72.7% 더 지출하는 등 장기적으로는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도 늘었다.
|
뤼카 샹셀 소장은 “신자유주의가 주류로 떠오른 1980년대 이후로 세계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고, 부의 불평등은 소득의 불평등보다 심각한 상태”라며 “불평등 해소 대안으로 디딤돌소득을 꼽을 수 있으나 전국적으로 확산했을 때 그 재원마련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에 “기존 현금성 지원제도를 디딤돌소득으로 통합·연계해 재원을 확보한다면 추가적인 부담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전체 사회보장제도를 정교하게 분석해 재구조화(안)을 마련하고 소요재원 조달방안을 검토하는 정합성 연구를 별도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한국도 부모 소득에 따라 교육기회의 차이가 커지며 계급이 고착화 되고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디딤돌소득을 받은 많은 가구들이 지원금을 자녀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계층 이동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서울시는 이번 포럼 결과를 바탕으로 디딤돌 소득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디딤돌소득은 소득 상승과 근로의욕 고취라는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됐다”며 “사각지대 없이 어려운 시민들을 보듬을 수 있으면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