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모두가 같이 잘 살자’는 뜻의 공동부유(共同富裕)를 실천하고 있는 만큼 중소·영세기업에 대해선 지원을 강화하고 부동산, 플랫폼 기업에 대해선 규제가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고려하면 인민은행이 적극적으로 금리를 내리는 정책은 제한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
상반기엔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의 이벤트를 앞두고 강력한 방역 조치, 헝다 파산 사태 등에 따른 부동산 업황 부진, 기저효과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그나마 하반기에는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소비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은 항공, 컴퓨터, 전자통신 등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부동산 개발 투자는 헝다 사태 등에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는 만큼 중소·영세기업, 소상공인에 대한 세금 감면 등을 추진하고 고용지원책, 기초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통화정책의 경우 영세기업에 대한 유동성 공급책, ‘탄소저감 지원대출제도’ 활용 등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경기부양을 위해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등의 적극적 조치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는 판단이다. 인민은행은 지난 달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20개월 만에 전격 인하한 바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주장하고 있는 ‘공동부유’에 정책의 역량이 집중될 방침이다. 중소·영세기업 지원, 인터넷 플랫폼에서 첨단 제조업으로 산업정책 육성 방향 전환, 플랫폼 기업 및 고소득층의 기부문화 조성이 대표적인 정책 사례다.
한편 일본은 올해 2~3%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물가상승률의 경우 내년에도 1% 아래에 불과 목표치 2%를 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데다 고령화, 노후소득 불안으로 물가상승이 제약된 영향이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BOJ)은 물가 목표 2%를 위해 단기금리(일본은행 당좌예금 일부)를 -0.1%, 장기금리(10년물 국채 금리)를 0% 정도로 유지하는 정책을 올해말까지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