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사업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찾동 서비스를 모범사례로 언급하며 사회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추진키로 하면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1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함께 시행 중인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해 지방의 읍·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사업과정에 직원의 근무공간 개선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도 함께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가 지난 2015년부터 시행한 ‘찾동’ 사업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은 행자부와 보건복지부가 읍면동 사무소와 주민센터가 복지센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별도의 맞춤형 복지인력을 충원해 사회취약계층의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했다. 지난해 전국 3502개 읍면동 가운데 1094개 읍면동의 복지허브화를 추진했고 올해 1152곳을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방무 행자부 자치제도과장은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복지인력을 늘리다 보니 직원 중심의 공간개선이 이뤄질 수밖에 없었다”며 “서울시의 찾동 서비스는 지역주민이 동주민센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자치공간을 마련하면서 호응을 얻고 있어 배울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발전을 위해 서울시 찾동 서비스 가운데 도입할만한 점을 벤치마킹해 적용여부를 검토중”이라며 “도입을 결정하면 올해 시범지역을 선정하는 등 빠른 시일 내에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 확대를 위한 외부 환경은 우호적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서울 마장동 동주민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일자리 창출과 모범복지사례로 서울시의 찾동 사업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공약 1순위인 ‘일자리 창출’ 부문에 사회복지, 보육, 요양, 장애인복지 등 사회서비스 공공기관 일자리 34만개를 만들겠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맞춤형 복지제공을 위한 ‘찾아가는 동 복지센터’를 확대하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통합사례관리사 등 지역복지 인력을 적극 확충한다는 내용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행자부는 이와 함께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주민센터에 AI와 IoT 기술 등을 적용한 스마트주민센터 구축도 검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순민원업무의 경우 AI기술을 적용한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빅데이터와 행정자료를 연계분석해 지역의 문제점과 해결과제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읍·면사무소와 동주민센터가 과거처럼 민원처리를 하던 역할을 넘어 지역주민에 한 발 더 다가가 복지와 건강을 살피고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