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문재인 정부 시절 국립외교원장(2019~2021년)을 지냈던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특성 중 하나로 ‘용두사미’를 꼽았다. 트럼프 당선인의 집권 1기 시절 추진했던 반(反)이민·중국 정책 등이 후반으로 갈수록 추진력을 잃었던 점을 지적한 것이다.
다만 김 의원은 우리 정부가 능동적으로 나서 곧 들어설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처럼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지은 우리 기업들의 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그는 “트럼프 말고도 해당 지역 상원 의원이나 주지사들이 (우리 기업들의 투자를) 자기 업적으로 삼고 싶어한다”고 말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가 약속했던 것을) 다는 못 받겠지만 완전히 폐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의원은 한국 정부에도 트럼프 당선인 등을 상대로 선제적으로 협상에 임할 것을 촉구했다. 조지아 주에 7조원 가량을 투자해 전기차 전용생산을 지은 현대차나 배터리 공장을 신설·증설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의 기업이 큰 손해를 보지 않도록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해야 한다는 의미다.
소원해진 정도를 넘어 악화된 러시아와의 관계도 개선해야 한다고 김 의원은 강조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곧 종결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실리를 챙겨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트럼프는 푸틴을 손을 들어주는 방식으로 휴전을 하고 러시아와 중국 사이를 가르려고 할 것”이라며 “실제로 미국과 러시아가 손을 잡으면 우리는 또 소외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한국이 따라야 할 모델로 인도를 들었다. 인도는 러시아와 미국 간 실리 외교로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있다. 러시아로부터 값싼 원유를 수입하면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과 안보 협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경향이 트럼프 행정부 들어 더 강해질 것이라는 게 김 의원의 전망이다.
그는 “트럼프는 기존의 상황을 흔든다”면서 “이를 우리에게 좋은 쪽으로 끌고 가는 게 정부의 역량”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2017년 트럼프를 설득해 김정은과의 만남을 주도했고 한반도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줬다”면서 “물론 결과는 실패로 끝났지만 그런 정도의 정부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