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중국 위안화 환율이 3일, 달러화 대비 6.7위안을 돌파하면서 지난해 8월 14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구두개입이 나왔지만 신흥시장국의 경기 전반을 이끄는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단 평가다. 하반기 신흥시장국 위기설에 경계감이 커지는 모양새다. 위안화 환율이 추가로 5% 가량 절하될 가능성이 있단 전망이 나온다. 원화가 위안화와 동조한단 점을 감안하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단 분석이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4일 보고서에서 “위안화 환율이 추가 절하될 가능성이 있다”며 “2014년 이후 야기된 위안화 급등을 감안하면 전고점인 달러화 대비 7.0위안까지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 근거는 세 가지다. 미국과 중국의 경기상황과 통화정책 방향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지난해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국 통계국 PMI 제조업 지수는 하락 전환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6월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올해 점도표상 금리 인상 횟수도 네 차례로 늘렸다. 반면 중국 인민은행은 규제 개혁과 경기둔화 방지 등을 목적으로 지준율 인하를 단행했다. 미국과 상반된 중국의 통화정책 방향은 위안화 환율의 약세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또 하나는 자본유출이다. 김 연구원은 “중국 경상수지가 2001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전환됐고 중국으로 들어오는 외국인직접투자(FDI)와 중국에서 나가는 해외직접투자(ODI)의 차이가 두 달 연속 순유출을 기록한 데다 중국 핫머니도 한 달여만에 순유출로 전환됐다”며 “수급면에서 중국에서의 자금이탈이 위안화 환율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에 대한 대비책으로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가능성이 있단 점이다. 김 연구원은 “6일 미국이 중국 수입품에 25%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며 “1조1800억달러에 이르는 미국채를 매도하기에는 득과 실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적정외환보유액의 두 배 이상 많은 외환보유액을 감안하면 인위적으로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하반기에도 주기적으로 위안화 환율의 약세 유인이 있다”며 “우리나라 원화 환율의 향방과 연관이 깊은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굵직했었던 위기들 모두 환율에서 촉발됐단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