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지그프리드 헤커 전 미국 국립핵연구소 소장은 미국 예술과학아카데미가 지난 9월 발간한 핵 과학 전문지 '세계 핵의 미래' 최신호에 실린 '북한 핵 문제의 교훈'이란 논문에서 "북한이 두차례에 걸친 핵 실험과 3차례에 걸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에도 장거리 핵 미사일 보유는 아직 먼 일"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저명한 핵 과학자로 북한의 영변 핵시설을 수차례 직접 방문하기도 했던 헤커 박사는 "만약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에 핵 탄두를 장착하고자 한다면 시간은 줄일 수 있지만, 추가 핵 실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농축우라늄을 통한 핵개발과 관련해 북한이 지난 수십년간 우라늄 농축 실험을 해왔지만, 아직 산업 규모의 우라늄 농축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헤커 박사는 "북한의 핵무기 디자인에 관해서 정확한 정보는 없지만, 핵 실험 결과를 볼 때 1945년 일본 나가사키에 투하된 것과 같은 단순한 플루토늄 폭탄으로 초보적 수준"이라고 추정했다.
헤커 박사는 "북한이 핵무기가 정권의 힘과 우월성을 주민들에게 강화해 정통성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에 핵 정책이 과거와 달리 외부의 안보 불안보다는 국내적 요인에 더 좌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북한 정권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가 작고 약하다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에 핵보유국이라는 위상을 미국과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외교적 지렛대’로 이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헤커 박사는 "이처럼 핵무기가 이미 정권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여서 북한이 가까운 장래에 이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설령 북한이 비핵화에 동의하더라도 과거 6자회담 때처럼 이행을 질질 끌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북한이 시리아에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원자로를 지어주고, 리비아에도 고농축 우라늄 생산에 필요한 우라늄 헥사플루오라이드를 수출했으며, 파키스탄, 버마와 핵 협력도 의심된다"면서 "핵 확산 시도가 제대로 통제되지 않고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헤커 박사는 "중국의 비협조로 북한의 핵 포기를 강제할 방안도 마땅치 않다"면서 "미국과 한국이 장기 전략을 세워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는 방안" 마련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시간이 북한 편이 아니라며 북한에 가장 큰 위협은 주민들을 영원히 외부 세계로부터 차단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