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중국의 인접국인 우리나라의 확진자 수도 9일 오전 9시 기준 총 25명으로 늘어나면서 사회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달 말 중국 연구진이 국제 의학 학술지 란셋(Lancet)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 유행 초기 확진 환자 41명의 진료 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대부분이 일주일 만에 입원했고 이 중 절반 정도가 입원 하루 만에 호흡곤란이 생겨 2~3일 뒤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전체 환자 중 10%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고 5%는 인공 심폐기를 달았으며 환자 중 15%가 사망했다. 의료계에서는 이처럼 질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된 원인으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거론했다.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투해 인체를 공격하면 우리 몸에서는 이 바이러스와 맞서 싸우기 위해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 신체가 겪어보지 못한 신종 바이러스가 체내로 들어오면 미지의 바이러스에 대항해 사이토카인이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많이 나오게 된다. 즉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켜 마치 폭풍처럼 과도하게 나온 사이토카인으로 정상 세포들의 DNA가 변형돼 일어나는 2차 감염 증상을 가리킨다. 오히려 면역물질이 상황을 잘못 판단해 정상 세포까지 파괴하는 자해를 자행하는 셈이다.
이와 관련 지난 1993년 미국 미시간대 연구진이 지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때 상대적으로 젊은 층의 사망이 다른 감염병보다 20배 이상 높았던 이유를 연구한 결과 과도한 면역작용이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는 물론 정상 세포까지 공격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조류독감(H5N1), 에볼라 바이러스 등 감염병의 인체 감염 사례도 숙주의 면역체계에서 유발된 사이토카인 폭풍의 면역 폭발에 의한 병원성 증가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감염자 중 40대 이하 젊은층이 38%를 차지한 것도 사이토카인 폭풍의 영향인 것으로 지적됐다.
*편집자주: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그 중요성은 점차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기초과학은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져 피하고 싶은 것도 사실이다. 기초과학의 세계에 쉽고 재미있게 발을 들여 보자는 취지로 매주 연재 기사를 게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