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 성인의 대사증후군 환자는 지난 20년간 지속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성인 5명 중 1명이 대사성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사증후군 증가는 늘어나는 밀 소비량 비슷한 추세다. 2017년 한국인의 1인당 밀 소비량은 47.86kg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쌀 소비량과 달리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 도정된 곡류의 높은 섭취 비율은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졌다. 특히 면·빵류 등을 자주 먹을 경우 비만 유발과 상관성이 높은데 이는 밀가루의 과도한 섭취가 마른 비만을 초래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판단했다.
연구팀은 8주간 밀 전분 함량이 높은 사료를 실험용 쥐에 섭취시켰을 때 일반식이 섭취군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장내미생물 균총이 변화한 것을 확인했다. 체내 지방대사의 변화로 지방간도 진행됐다.
고밀전분 식이 실험쥐의 장은 비만 환자 장에서 흔히 발견되는 피르미쿠테스·박테로이데테스 비율이 증가했다. 대사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내미생물인 프로테오박테리아는 6배 증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식품 영양학·기능성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영양학(Nutrients)’ 저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향후 식품 성분을 확대해 장내미생물과 장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 연구할 계획이다.
황진택 식품연 식품기능연구본부장은 “특정 식단이 장내미생물을 매개호 대사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연구 성과”라며 “식품 성분이 장내미생물과 장 환경에 미치는 연구 결과를 축적해 다양한 장 건강 식품소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