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지난달 법원 경매에 나온 수도권 다세대·연립주택이 7년여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금융권이 경기 침체로 빚을 갚지 못한 채무자의 집을 채권회수를 위해 경매로 넘기는 사례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다세대주택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두달 연속 하락했고, 입찰자 수도 올해 상반기에 비하면 감소세로 돌아섰다. 물건은 넘치는데 손님은 줄고 가격도 떨어져, 채무자는 물론 다세대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려 준 금융기관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1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 7월 경매가 진행된 수도권 다세대 물건은 총 2293건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2098건) 대비 9.3% 증가한 수치로 2006년 12월(2568건) 이후 가장 많았다.
경매에 나온 다세대주택 물량은 늘었지만 시장은 이를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7월 수도권 다세대 주택 낙찰가율은 71.2%로 6월 이후 두 달 연속 하락세다. 7월 입찰자 수는 2406명으로 전월(2137명)보다는 다소 늘었지만 5월(2836명)과 비교하면 15%넘게 줄었다. 지난 5월까지 4명선을 유지하던 평균 응찰자수도 3.7대 1로 내려왔다. 매수세가 늘어난 물량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낙찰가율과 입찰자 감소는 채무자와 채권자 모두에게 부담이 될 전망이다. 집이 경매에서 제 값을 받지 못하면 채무자는 빚을 갚을수 없고, 채권자는 빌려준 돈을 모두 돌려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별로는 다세대주택 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제2금융권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7월 경매에 나온 다세대주택 물건 중 경매신청 채권자가 제2금융권인 경우는 전체의 65.1%에 달했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다세대주택은 시세 차익을 거의 기대할 수 없고, 입지나 상품성이 아파트에 뒤져 매매가 쉽지 않다”며 “입찰자는 물건의 입지와 면적, 구조 등의 기본 현황을 파악하고, 인근 지역의 실거래량과 낙찰사례가 많은 물건을 고르는 게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