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정현 기자] 첨단산업을 향한 중국의 야망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과의 마찰로 인해 상당 기간 지체될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첨단산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로 중국이 전세계 인공지능(AI) 특허의 4할을 창출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냈지만, 이 때문에 오히려 주요국들과의 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김대운 한국은행 조사국 과장은 4일 ‘중국의 첨단산업 발전 현황 및 주요 과제’를 주제로 한 해외경제포커스를 통해 “중국이 시진핑 주석의 집권 이후 ‘중국제조 2025’를 표방하는 등 첨단기술 기반의 제조업 육성에 주력했지만 이로 인해 기술선도국과의 마찰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제조 2025의 전략수정 및 속도조절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2010년대 들어 성장전략을 전환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첨단산업을 적극 육성했다. 중국의 전통적 성장동력인 수출·투자가 정체되고 부채가 누증되는 동시에 노동비용이 상승하면서 기존 성장모델이 한계에 달했다는 판단에서다.
빅데이터 분야에서도 중국은 가파른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다. 중국의 빅데이터 산업의 시장규모는 4385억위안(660억달러·2018년 기준) 수준으로 평가돼, 2015년 2232억위안에 비해 두 배 가량 성장했다.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2014년 이후 연평균 50%씩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전세계 전기차시장 점유율은 47.6%에 달한다.
다만 중국 첨단산업의 이 같은 가파른 성장세가 계속 이어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2010년 들어 전세계적으로 저성장 기조가 확산되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보호주의가 강화되면서다.
중국이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여타 주요국들과 갈등을 빚게 되고 그 때마다 첨단산업 육성에 속도조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이 1년 넘게 지속하고 있는 대(對)중국 통상압력으로 중국제조 2025 전략의 핵심목표 달성도 상당기간 지체될 수 있어 보인다. 아울러 중국이 선도하는 전기자동차 등 분야에서도 글로벌 표준체계 구축에 있어 국가간 협력에 난관이 예상된다는 평가다.
김대운 한국은행 과장은 “중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정책에 힘입어 중국의 첨단산업이 빠르게 성장했지만, 이로 인해 선진국들과 중국 간의 잦은 대립이 있을 가능성이 잠재해 있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그러면서 “중국의 산업구조가 달라지면서 주요 교역국인 한국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