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문제는 금융위기 후 경제성장이 양호해지고 있음에도 가계소득 증가세가 제한되고 있다는 점이다. 자영업자의 영업기반이 위축되고 있는데다 가계부채 누증으로 순이자소득이 줄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자본축적을 저하시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부채가 부채를 낳는 악순환을 초래해 거시건전성 측면에서도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GDP 성장률은 2001년~2007년 4.7%(전기대비)를 기록한데 이어 2010년 6.3%, 2011년 3.6%, 2011년 4분기 0.3%를 나타낸바 있다.
특히 2009년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은 국내 경제에 특별한 충격이 없는 상황에서 12분기 연속(2009년 3분기~2012년 2분기) GDP 성장률을 밑돌았다. 이는 1990년대 이래 처음으로 발생한 현상이다.
소득 1~3분위 저소득층 역시 같은기간 7.5%에서 6.0%로 줄었다. 특히 이들 계층에서는 가처분소득의 변동성이 높아진 가운데 소비지출이 소득에 민감히 반응하면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즉 의식주 등 경직적지출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소비부진에 대해 나 차장 등은 제한적 가계소득 증가와 가계부채 누증, 소득분배구조 악화 등을 꼽았다. 아울러 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국내경제가 해외충격에 취약해지면서 거시경제 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간소비 등 내수가 대외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설비투자의 모멘텀이 저하돼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가계저축률 하락에 따라 대출 증가와 이자상환부담 증가, 부채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 거시건전성 측면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나승호 한은 조사총괄팀 차장은 “성장과 가계소득의 선순환 회복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수출의 고부가가치화, 고용유발효과 제고를 통한 수출과 내수간 균형발전과 소득분배 개선에도 유의해야 한다”며 “아울러 소비성 대출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고 필요시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상향조정 하는 등 건전성 감독조치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저소득층을 위한 서민금융 지원 강화와 같은 별도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