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현장점검 목적은 ‘연체율 관리 상황 파악’과 ‘금융사의 연체채권 정리 유도’로 읽힌다. 최근 2금융권의 연체율이 급증한 데다 경기 침체에 따른 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져서다. 상대적으로 저신용자가 몰리는 2금융권은 부실화 속도가 시중은행에 비해 빨라 ‘약한 고리’라고 불린다.
실제 최근 2금융권의 연체율엔 적신호가 켜졌다. 연체율이 늘었다는 건 고금리와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돈을 제때 갚지 못한 차주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은 5.1%로 집계됐다. 연체율이 5%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6년 말 이후 처음이다.
통상 1%대의 연체율을 유지해 오던 상호금융권 연체율도 2%대로 올라섰다. 연체채권 규모도 12조원 수준으로 불면서 건전성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다.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면서 2금융권의 기업대출 역시 상승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에 따르면 2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2.24%로 약 7년 여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저신용자들이 몰리는 2금융권의 연체율이 급등한 데다 경기 변동에 민감한 기업대출 연체율까지 오르자, 2금융권 안팎에선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감원 검사국과 감독국이 합심해 현장점검을 벌인 사례는 다수 있었으나 ‘연체율 관리’라는 테마를 특정해 2금융권 전반을 살피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기도 하다.
금융사들은 개인연체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거나 회계에서 상각 처리해 연체율을 낮추고 자산건전성을 관리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무래도 2금융권의 1분기 연체율이 높게 나왔기 때문에 계속 연체 부담을 안고 가느니 2분기 이전에 정리를 좀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다”며 “이번 현장점검도 그런 취지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