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전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는 재공모 결과 복수 지원자가 등록하면서 서류 심사 등의 절차에 착수했다.
한전은 지난달 26일까지 새 사장을 공모했으나 지원자가 1명에 그치자 이날까지 공모 기간을 연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정 전 차관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지자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고 다른 지원자가 나오지 않았다”며 “그간 업계 안팎에선 정 전 차관이 차기 사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온 만큼 사실상 차기 한전 사장 경쟁은 정 전 차관 쪽으로 기울어 졌다”고 말했다.
정 전 차관은 서울 출신으로 경성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33회에 합격, 1990년 동력자원부에서 공직을 시작했다. 산업부 반도체전기과장, 에너지산업정책관, 자유무역협정정책관, 무역투자실장, 에너지자원실장 등 산업·통상·자원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이번 한전 사장 공모와 관련해 낙하산 인사가 여전한 가운데 정권 교체 시기가 다가오면서 오히려 기관장을 못 구하는 ‘기관장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지난달 26일 마감한 사장 공모에 1명만 지원해 이달 5일까지 공모 기간을 연장했다.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수의 지원자가 없으면 사장 선임 절차를 진행할 수 없다.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전 사장 공모에 지원자가 없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를 두고 공공기관 안팎에서는 ‘정치 스펙을 쌓는 정거장’으로 공공기관 수장자리가 변질했다며 자조한다. 정권 교체 때는 논공행상형 ‘보은인사’ 탓에 너도나도 낙하산 인사가 활개치지만 막상 정권 교체 시기가 다가오면 ‘물갈이’를 의식해 아예 지원조차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번 한전 후임 사장에 정 전 차관이 지원하면서 ‘들러리 논란’ 탓에 지원이 저조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공공기관장의 경영능력, 전문성을 1순위로 보고 임명하는 게 아니라 보은 인사를 하면 논란이 불어질 수밖에 없다”며 “능력보다 자기 사람을 챙기는 인사를 하면 공공기관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