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7구간 이하 저신용차주를 대상으로 대출원금 감면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우리은행이 대표적이다. 우리은행은 다음달(8월) 초부터 신용등급 7구간 이하, 고위험 다중채무자 등 저신용차주 중 성실상환자에 대해 이같은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기존 개인 신용대출을 연장하거나 재약정할 때 약정금리가 6%를 초과하는 경우 6%를 넘어서는 이자금액으로 대출 원금을 자동 상환해주는 방식이다. 우리은행은 “은행의 사회적 책임 실천과 금융 취약차주의 연착륙 유도를 위해 이번 제도를 시행하게 됐다”고 했다.
타 은행들도 비슷한 대책을 연달아 내놨다. 국민은행은 개인사업자 가운데 금리가 7%를 넘는 차주를 대상으로 대출기한을 연장할 때 최고 2%포인트를 인하해주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개인사업자 대출 차주 가운데 연 7% 이상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경우 대출만기가 도래했을 때 7% 초과 금리에 최대 1%포인트 감면하기로 했다. 금리가 7%를 넘는 대출을 받았을 경우 취약차주로 분류해 핀셋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한국은행이 전례없는 속도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취약차주들의 고통이 예상되면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각각 비슷한 취지의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그런데 은행권의 대책과 달리 당국 대책에 대해서는 대단한 분노가 느껴진다. 청년들의 채무의 경우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로 인한 것인데 이를 국가가 나서서 지원하는 것이 옳냐는 ‘당위’에 대한 비판이다. “빚투를 실천한 것은 남성들이 대부분”이라며 성별갈등으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문제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노도 상당하다는 점이다.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은 원금탕감이 아닌 이자 일부 지원이라는 점, 전체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 20% 신용평점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도덕적 해이’에 대한 무서운 분노에 취약청년에 대한 지원이 약화되는 것은 아닐지, 일각서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앞으로 당분간은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이다. 정확한 분노와 정확한 대책이 필요한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