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눈망울에 눈물이 가득히 고인 아이들, 팔다리와 갈비뼈가 앙상한 아이들, 정수되지 않는 물을 마시는 아이들의 모습은 후원단체의 광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통해 동정심을 유발한다. 이른바 ‘빈곤 포르노그라피(Poverty Pornography)’를 통해 후원금을 모으는 전략이다.
빈곤 포르노그라피는 가난에 시달리는 사람을 자극적으로 묘사해 동정심을 일으켜 모금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80년대 국제 자선 캠페인이 급증하면서 생겨났다.
이러한 형태의 광고가 특정 개발도상국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부추기고 인권을 유린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연출된 가난, 지갑 열기 위해 인권유린
사진 속 두 어린 소년은 푸짐한 음식 앞에 양손으로 얼굴을 가린 채 서 있다. 눈앞에 진수성찬이 차려져 있지만 가난 때문에 먹지 못하는 소년들의 모습을 극명하게 묘사했다.
촬영 당시 마모는 소년들에게 “식탁에 앉아 먹고 싶은 음식들을 상상해보라”고 주문했다. 실제 사진 속 음식들은 모형이었다. 이 사실이 전해지면서 공분을 샀다.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의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미디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국내 한 방송사와 개발 NGO가 에티오피아의 식수난을 촬영하려다 물이 깨끗하자 어린 소녀에게 오염된 물을 마시게 하고 눈물을 흘리게 하려고 꼬집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국내 한 개발협력NGO는 필리핀 모금홍보 방송을 위해 어려운 환경에서 살아가는 여자아이를 촬영했다. 하지만 말끔한 옷차림을 한 이 아이를 보고 방송 취지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옷을 갈아 입혔다.
당시 소녀는 “당신들은 나를 위해 촬영하는 것이 아니군요”라고 말하고 큰 상처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더는 안돼”…정부 모니터링 확대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을 깨기 위한 여러 캠페인이 등장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실제 아프리카를 담은 사진이 ‘The Africa The Media Never Shows You’(미디어가 절대 보여주지 않는 아프리카)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올라왔다.
아프리카의 패션, 자연, 도심, 예술 등 알려지지 않았던 아프리카의 일상을 담았다. 아프리카인의 시선에서 바라본 아프리카의 모습을 본 누리꾼은 “정말 아름다운 나라다”(wang****), “대중매체는 편향된 아프리카의 모습만 보여주고 있었다”(tlim***), “아프리카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버려야 할 때다”(jjs***)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아프리카 출신 사진작가들이 ‘아프리카의 일상’(everyday africa)으로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해 아프리카의 일상을 담은 사진을 올린다. 북적거리는 시장, 함박웃음을 짓는 아프리카 소년, 차로 가득한 도시, 맥북을 사용하는 모습, 멋진 옷을 차려입은 아프리카인 등 기존의 편견을 깨는 사진들로 가득하다.
우리 정부도 빈곤 포르노그라피를 타파하기 위해 나섰다. 지난 7월 제 40차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회의에서 인권침해 논란의 중심인 후원 광고가 안건에 올랐다.
본 회의에서 심영섭 위원은 “누군가의 빈곤이나 어려움을 이용한 기금 모금 활동은 인권침해”라며 “이런 형태의 후원 방송을 중지하는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광고팀 관계자는 “대역이나 가명을 사용하는 후원 캠페인도 생겨나고 민원도 다소 줄었다”며 “현재까지도 인권보호를 위해 후원 광고를 중점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