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지난 16일 서울 사옥에서 기후위기 극복 등 지구환경 개선에 기여하게 될 친환경 혁신기술을 소개하는 ‘신환경경영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수진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추진센터 부사장은 “다양한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 방법이 있으니 가용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겠다”면서 “특별히 선호하는 게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방법과 각각의 프리미엄을 활용하겠다”고 강조했다.
|
재생에너지를 보급받는 방법은 현재 재생에너지 발전 직접투자에서부터 전력구매계약(PPA), 제3자PPA, 녹색프리미엄 요금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 등 여러 제도가 마련돼 있다. 그간 우리 기업들은 현재 전기요금보다 10~15%게 전력을 비싸게 구입하면 재생에너지로 인정하는 ‘녹색프리미엄 요금제’를 활용해 왔다. 하지만 원자재, 전기요금 등 비용을 낮춰 이윤을 높게 남겨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흔쾌히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에는 삼성전자가 재생에너지 발전 시장에 직접 뛰어들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사용한 전력량은 25.8TWh다. 알파벳(구글) 18.2TWh, TSMC 18.1TWh, 인텔 9.6TWh 등 글로벌 IT제조사와 비교해 가장 전력 사용량이 많다. 이는 서울시 전체 가정용 전력 사용량 14.6TWh의 1.76배에 달하는 규모다.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수급을 위해서는 마냥 한전의 전력 판매에만 기댈 수 없는 상황이다.
LG전자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직접 계약을 맺어 전력을 끌어오기 시작했다. GS그룹 계열사인 GS EPS의 태양광 발전소와 창원 LG스마트파크를 직접 연결해 재생에너지를 공급받는 방식이다. GS EPS는 LG스마트파크 건물 옥상에 발전소를 설치·운영하고, LG전자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구매해 사용한다.
이 방식은 한전과 계통연결을 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전력수급이 이뤄지고, 동시에 한전의 망 사용료나 별도 전용 송전선 설치비 등 추가 비용도 절감된다. 여기에 LG스마트파크 건물 옥상을 부지로 사용하는 터라 부지 임대료도 절감해 전력생산비용을 상당히 낮췄다. 현재 산업용 전기요금보다 저렴하게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도 비용을 보다 절감하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직접 발전소를 건립하는 방식은 비용부터 각종 인허가 리스크 등이 많아 기업들이 선호하지는 않는다”면서 “재생에너지 발전소에 지분 투자, 상호 협약에 따른 PPA계약 등 방식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RE100, 탄소중립 선언에 나선 만큼 친환경 관련 시장에 큰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 기술 혁신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한 제도 변화 등이다. 특히나 정부가 규제 일변도에서 벗어나 기업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을 촉발할 수 있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시 등도 마련할지 주목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외국에서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사온 경우에도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를 조달한 것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정부나 국회에 제안하고 있다. 삼성전자도 이번 친환경경영전략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회 등에 문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가 낮은 해외에서 저렴하게 재생에너지를 끌어오겠다는 전략이지만, 국내 재생에너지를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그린워싱’ 논란은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존에 정부가 규제로 탄소중립을 끌어올리려고 접근했지만,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환경이었다”면서 “기업들이 각종 친환경 기술을 만들도록 독려하고, 기업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제도를 설계하는 등 탄소중립을 위한 인센티브가 마련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