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규 호서대 교수는 지난 20일 한국언론학회가 서울 목동 한국방송회관에서 개최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세미나 발제를 통해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변 교수는 콘텐츠재송신료(CPS)의 문제점으로 △CPS가 저작권료인지 수익배분인지 시각차가 존재하며 △CPS 개념 자체에 대한 합의도 없고 △산정근거나 내역이 공개된 바도 없음을 지적했다.
또, 지상파 채널마다 채널 성과가 상이한데 동일한 수준의 대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플랫폼의 영업환경도 다른데 동일한 CPS가 요구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종편의 경우도 플랫폼 시장이 포화된 상태에서 시청률 증가가 플랫폼 매출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며 이런 시장에서 프로그램 사용료는 어느 수준까지가 적정한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변 교수는 “매출연동제를 도입해 프로그램 사용료의 최대치를 설정하고 일정 수준 플랫폼 수익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사용료 산정 시 플랫폼 매출의 일정 부분을 설정해 그 재원을 정률방식으로 일원화 해야 한다고 했다. 또, 학계는 배분기준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나 실무에서는 전혀 활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공신력 있는 조정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용희 동국대 교수는 “유료방송사의 역할이 일방적으로 무시되는 지금의 상황에선 CPS 금액의 많고 적음을 따지기 이전에 산출 근거가 적정한가 아닌가부터 고민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협상이 안될때 송출중단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하나, 현재 정부의 시청자 보호 논리는 왜곡된 협상을 도출할 수 밖에 없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이종관 전문위원은 “유료방송은 가입자당 매출(ARPU)이 워낙 낮고 저가 상품 중심에 시장이 포화되고 있어서 매출 극대화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그렇다면 비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유료방송사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매출 극대화가 어려운 상황에 비용 통제가 안되면 그 산업은 침체가 더욱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또, “지상파 블랙아웃을 막아놓은 상태에서 협상을 하면 당연히 제공하는 입장에서 우월한 협상력을 가지고 가격을 책정한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협상 과정에서 블랙아웃도 있을 수 있다며, “레거시 미디어의 쇠퇴기에서 지속 가능성이라는 전제를 한다면, 협상력을 이용한 협상 보다는 공정한 기준 하에 플랫폼의 수익을 고려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지성욱 한국외대 교수는 “CPS의 정당성이 약화하고 있다며 모든 채널들을 한 테이블에 놓고 같이 정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성과보상 관련해서는 학계에서 도출된 각종 방안들이 도입되어 합리적인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지교수는 “CPS 근거 약화와 모든 콘텐츠 대가에 대한 방향을 통합해서 일원화 해야 하며, 제작비 상승비용을 플랫폼에만 전가하는 논리구조는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