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유전체 분석에서 출발한 RT-PCR 분자진단 기술은 20년가량 흐른 지금 첫 번째 긴급사용승인 회사인 코젠바이오텍을 비롯해 국내 업체 24곳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독자 생산해 전 세계 117개국에 수출하는 결실을 맺었다. 그동안 한국이 국제표준화를 추진해 온 ‘미생물 병원체 검출을 위한 유전자 증폭 검사기법’은 연내 국제표준 확정이 유력하다.
|
코로나19 진단키트 발전사는 제약·바이오산업에서 가장 성공적인 민·관 협력 사례로 꼽힌다. 바짝 다가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앞으로도 이런 케이스가 계속 나와야 한다는 게 산업계 중론이다. 업계는 `구조 개혁`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일상 될 ‘거리두기’…생활패턴 변화 대비해야
16일 대한병원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일반병원을 내원한 환자는 전년 동기보다 최대 46.68%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입원 환자도 크게 줄어 34.15%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원내 환자 감소율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월 3.68%, 2월 3.49%에서 3월 26.44%로 대폭 확대됐다. 헬스 케어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의 약사 패널 설문조사 결과, 올 한해 원외 처방은 약 23% 축소할 것으로 분석된다. 금액으로 따지면 2조9000억원에 달한다는 추정이다.
|
한미약품(128940)은 HMP라는 의료정보 포털을 구축, 마케팅 채널로 적극 사용 중이다. HMP는 △의약품·논문 정보 △주요 질환 최신 지견 △온·오프라인 통합 심포지엄 △맞춤형 화상 디테일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글로벌 제약사 또한 상황은 마찬가지여서 한국화이자업존은 올 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링크(LINK) 포털’을 리뉴얼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보건의료 전문가 전용 포털인 ‘GSKpro(프로)’를 운영 중이다. 휴젤(145020)은 미용·성형 분야 학술포럼을 사상 첫 비대면 ‘웨비나(Webinar·Web+Seminar)’ 형식으로 개최했다.
|
그러나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을 감안할 때 코로나19로 규제 혁신 요청이 높은 영역은 `원격 의료`다. 국회에 수차례 관련 법안이 발의됐으나 번번이 통과하지 못했다.
구태언 대한특허변호사회장은 “20년 넘게 의사·시민단체 반대로 의료법 개정안 통과는 엄두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라며 “대한의사협회는 의료전달시스템 붕괴 우려를, 시민단체는 의료민영화의 단초가 될 것이란 이유로 모두 거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 회장은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이 바람직한 정책 방향이 아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
시작된 혁신 바람…벤처 의지 꺾는 의료법 ‘장벽’
이 사업은 의료법상 금지된 ‘원격 의료’ 논란을 피하고자 측정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의료진과 공유한 후 의사로부터 원격 내원 안내를 받아 병원에 방문해 확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설계됐다. 유한양행(000100)은 전환상환우선주를 인수하는 형태로 총 50억원을 투자해 휴이노의 2대 주주 권리를 확보했다.
최근엔 삼성전자(005930)가 개발한 혈압 측정 앱이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SaMD) 허가를 받았다. 세계 최초라고 하지만 이 역시 혈압 앱을 병원 진료까지 연결시키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모니터링한 혈압 측정값을 기반으로 원거리 의사가 고혈압 진단에 이용하면 의료법상 불법 행위”라고 인정했다.
|
결국 국내 의료 관계법령에 가로막혀 해외로 나가기도 한다. 인성정보(033230)는 원격 진료장비 ‘하이케어’에 관한 미(美) FDA 승인을 획득하고 수출 중이다. 하이케어는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예방하도록 혈압·혈당·체지방 등 개인 건강상태를 측정, 주치의와 1대 1 화상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의료기기다.
국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송시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여건을 과감히 개선해 글로벌 도약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팬데믹(Pandemic·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이 종료되고 6개월 정도 경과한 이후 코로나19를 계기로 되돌아본 우리 제약·바이오산업 한계와 경쟁력을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