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에 접종한 30세 미만 접종자 등 2차 접종을 불안해하거나 기피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교차접종을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우리나라는 1차와 2차에 다른 종류의 백신을 접종하는 교차접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연구에는 돌입할 예정이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립보건원이 교차접종에 대한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에 대한 추가접종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접종의 안전성과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차접종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
국내에서 교차 접종이 허용되면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불안과 불신이 사그라질 수 있고, 백신 접종률도 높아질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특히 3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1차 접종자들 사이에서는 교차접종을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현재 국내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30세 미만 접종 제한이 발표되기 전 약 14만5000명가량의 30세 미만이 해당 백신을 접종했다.
당국은 1차 접종에서 희귀 혈전증 등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1차 접종자에 대해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2차 접종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희귀한 증상이라고 해도 젊은 층에서 혈전 등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크다 보니 2차 접종을 기피하는 사례도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코로나19에 대한 백신은 세계적으로도 개발기간이 짧았고, 여기에 대한 과학적 검증들이 예방접종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며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 접종 받고 화이자를 2차 접종 받았을 때 결과에 대해서 데이터를 분석 ·발표한 결과는 우리나라도 상당히 주의 깊게 봐야 될 부분이라고 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