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1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개최된 설명회에는 다양한 업종을 영위하는 기술기업 임직원 및 주요 업권별 협회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벤처기업협회, 한국바이오협회, 금융투자협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이다.
거래소는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세부 트랙과 업종 특성(4차 산업, 바이오산업)을 감안한 중점 심사사항 및 기술특례 상장 성공사례, 표준 기술평가모델의 주요 내용 등에 대해 설명했다.
23일에는 충북 오송 첨단임상시험센터에 찾아가 차세대 면역항암제·인공각막 등 핵심 기술 보유 바이오기업의 임직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바이오·의료기업 맞춤형 제도와 바이오 분야 상장사례를 소개했다.
이날 3차 설명회에서는 거래소뿐 아니라, 기업금융(IB), 벤처캐피탈(VC), 기술평가전문기관 등 기술기업 상장 전 과정에 걸친 관계기관의 현직 전문가들이 기술특례 상장 준비사항과 투자유치 전략, 기술평가전략 등을 안내했다.
VC에선 한국투자파트너스가 바이오기업의 투자유치에 있어 핵심 파이프라인의 개발 시기를 당초 계획대로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평가전문기관에선 보건산업진흥원이 기술평가를 서둘러 받기보다 기술유형·개발단계를 고려한 기업공개(IPO) 전략을 먼저 수립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외에도 한국바이오협회는 협회의 산학연 네트워크를 활용한 투자유치 및 상장 지원방안에 대해 안내했다.
홍순욱 코스닥시장 본부장은 “코스닥은 바이오·딥테크기업 등 유망기술 기업이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술특례 상장 제도의 보완 필요사항을 개선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은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핵심 기술기업을 선별하고 성장자금을 지원하여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확고한 의지이며, 상장 절차상 일부 한계로 인해 옥이 사장되지 않도록 제도운영상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상장은 단순히 기존 투자자들이 투자자금을 회수하게끔 하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이라는 배에 일반 국민을 승객으로 받아 더 큰 바다로 나가는 출발점인 만큼 그에 걸맞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투자자 보호가 이루어져야 기업의 성장동력 확보와 투자성과 확대라는 자본시장의 선순환이 정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로드쇼’는 반도체·소부장 기업을 대상으로 30일 반도체 클러스터인 용인특례시에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