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종양 속에서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막는 조절 T세포만을 골라 없애는 단백질을 찾았다. 이를 통해 면역치료제를 비롯해 암 치료 효과를 높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 박수형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사진=KAIST)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수형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신의철 의과학대학원 교수, 서성일·강민용 삼성서울병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새로운 면역항암 전략을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 몸 속 조절 T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종양 속에 있는 조절 T세포만 선택해 제거하는 표적 단백질인 시캠1(CEACAM1)을 찾았다.
암 연구자들은 암 환자의 종양 속 조절 T세포를 선택해 없애는 치료법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종양 속 조절 T세포만 없애려면 해당 세포에만 높게 발현하는 표적 단백질을 찾아야 했다.
연구팀은 신장암 환자로부터 얻은 조직과 혈액을 분석해 CEACAM1이 혈액 속 조절 T세포에는 발현되지 않지만, 종양 속 조절 T세포에서만 발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신장암 환자의 종양 내 면역세포에서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없애자 면역항암 작용을 하는 면역세포의 종양 제거 능력이 늘었다. CEACAM1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없애자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의 면역항암 기능도 증가했다.
박수형 KAIST 교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어하는 치료는 많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지만 아직 이를 이용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며 “연구에서 발굴한 CEACAM1이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제거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암학회에서 발행하는 종양 분야 국제 학술지인 ‘Clinical Cancer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