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보영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성평등 지수가 1년전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고위 공무원 성비 등 의사결정 분야에서의 성평등 점수는 30점이 채 안돼 여전히 유리천장이 두터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 지수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국가성평등지수는 71.5점(100점 만점)으로 전년보다 0.8점 상승했다. 4년전인 2013년보다는 총 2.6점 올랐다. 국가성평등지수는 우리나라 전체·부문별 성평등 수준과 추이를 측정해 실태와 원인, 개선 정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수다.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으로 나눈 뒤 경제활동·의사결정 등 8개 분야를 평가하며 완전한 성평등 상태를 100점으로 산정한다.
분야별로는 보건분야(△건강 관련 삶의 질 △건강 검진 수검률 성비 △스트레스 인지율 성비)에서의 성평등 지수가 97.3점으로 만점에 가까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여성의 고위직 진출 정도를 측정하는 의사결정 분야(△국회의원 성비 △4급 이상 공무원 성비 △관리자 성비 △정부위원회 위촉직 성비)는 29.3점으로 가장 낮았다. 정부위원회 위촉직 성비가 61점으로 전년보다 5점이나 올라 크게 개선됐지만, 국회의원·4급 이상 공무원·관리자 성비 등 나머지 지표가 각각 19.9점, 17.1점, 19.3점으로 저조한 점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다만 안전분야(△사회안전에 대한 인식 △강력범죄 피해자 비율)는 전년보다 1점 낮은 66점을 기록했다. 강력범죄 피해자 성비를 나타낸 강력범죄 피해자 비율 지표가 64.6점으로 전년보다 2.8점 하락했기 때문이다. 교육·직업훈련 분야(△평균교육연수 성비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성비 △직업교육훈련 경험률) 점수도 93.6점에서 93.1점으로 소폭 하락했다.
여가부는 이를 위해 내년부터 기업들을 대상으로 여성 고위관리직 목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공적기금 투자 기준에 여성 대표성 항목을 추가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발굴해 자발적 참여를 이끌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