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8일 KB국민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총 12개 판매사에 대해 현장 검사를 시행한다. KB국민은행은 은행권, 한국투자증권은 증권업계 최대 판매사다. 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과 미래에셋·삼성·KB·키움·신한증권 등 나머지 10개 판매사에 대해서도 이달 중 검사에 순차적으로 착수한다.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착수한 건 작년 11~12월 중 12개 판매사의 홍콩H지수 ELS 판매 실태 점검을 위해 현장(KB국민은행)·서면 조사한 결과 판매 관리 체계상 문제점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예컨대 KB국민은행은 H지수가 30% 이상 떨어지면 변동성이 크다고 여기고 판매 목표 금액을 50%로 줄이는 등 자체 내부 규정이 있었지만 이 시기 판매 한도를 80%로 끌어올린 정황이 확인됐다. 수수료 수익 증대 때문 아녔느냐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박충현 금감원 은행 부문 부원장보는 “고객이 6개월 시점에 손실이 나도 똑같은 쿠폰 수익률을 KPI에 반영했다”며 “그러다 보니 은행 직원이 이 상품을 계속해서 많이 팔 유인이 발생한 게 아닌가 그렇게 보고 있다”고 했다. 고객이 중도 환매 시점에 -30% 수익률을 기록하면 이 숫자를 KPI에 반영하지만 중도 해지하지 않으면 처음 약속된 쿠폰 수익률을 그대로 KPI에 반영해줬다는 설명이다. 한마디로 직원 입장에선 ‘중도 해지하지 않으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
이중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만 15조 4000억원에 달한다. 전체 잔액의 79.6% 수준이다. H지수가 폭락하면서 지난 2021년 판매한 상품의 조기 상환에 실패한 영향이 크다. 특히 1분기(3조 9000억원)와 2분기(6조 3000억원)에 만기가 집중돼 있다. 박 부원장보는 “한도를 설정해줬기 때문에 한도 관리는 했지만 한도 내에서는 은행이 자율적으로 하는 부분이라 (금감원이)관여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