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쟁점은 제로페이 연동 여부다. 서울시는 제로페이 연동 없이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추진한 ‘서울페이플러스(+)로 가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결원은 박원순 시장 당시 구축해 130만개가 넘는 가맹점에서 이미 사용 중인 제로페이와 연동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내달 3일 ‘데드라인’을 넘으면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하고, 한결원도 맞대응하기로 해 갈등이 더 커질 전망이다.
|
이번 사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한 뒤 서울시가 서울사랑상품권 운영사업자를 변경한 것에서 비롯됐다. 박원순 서울시장 당시 서울사랑상품권 운영사업자로 선정된 한결원은 작년 12월 31일자로 협약기간이 종료됐다.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신한카드, 신한은행, 티머니, 카카오페이 등 4곳이 참여한 신한컨소시엄을 새 판매대행점으로 선정했다. 판매대행점을 바꾸면서 상품권 구매·결제도 ‘서울페이플러스(+)’ 앱으로 통합했다.
이 때문에 “결제가 안 돼 분통이 터진다”, “서울시가 시민들 세금으로 특정 은행 영업을 대신 해주는 거냐”, “세금으로 특정업체만 배불리는 게 아니냐”는 민원이 잇따랐다. 서울시가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고 상품권 운영사업자 변경을 강행한 게 아니냐는 불만도 제기됐다.
|
서울시는 “실질적으로 가맹점에게 안내할 수 있는 핵심정보인 가맹점 식별번호, 대표자 고객번호, 대표자명, 대표자 전화번호 등을 제공하지 않아, 이에 따라 시민에게 충분히 안내하기 어려웠다”고 전했다. 이어 “제로페이 무력화나 대형기업이나 은행 도우려는 의도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결원은 서울시의 ‘책임 떠넘기기’라며 반발했다. 서울시가 서울사랑상품권 구입·결제 등을 위한 앱을 변경하면서 기존 제로페이 앱과의 연동을 거부하고 추가 조치를 취하지 않아 시민들과 가맹점의 불편을 초래한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한결원은 지난 28일 보도자료에서 “한결원은 이 같은 오류가 발생할 것을 미리 예측하고 2021년 말부터 최근까지 서울시와 신한카드컨소시엄에게 제로페이 QR 또는 앱을 활용하는 방안을 수 차례 구두, 이메일, 공문을 통해 제안했으나 응답이 없었다”며 “1월20일이 돼서야 서울시는 제로페이와의 연동 결제를 협의할 필요가 없다는 답변을 한결원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한결원은 지난 29일 해명자료에서 “한결원은 법률 자문을 거쳐 관련 법령 등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 최대한의 가맹점 정보를 제공했다”며 “서울시 보도해명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한결원 관계자는 30일 통화에서 “서울시에서 법적 대응을 할 경우, 한결원도 법적으로 맞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