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정부부서의 재편이다. 국토교통부의 역할이다. 시대가 크게 바뀌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국토를 통한 고속도로 등 인프라를 깔고 교통·자동차를 넣으면 된다는 발상은 우리와 일본에만 남아있다. 이전과 달리 미래는 최적의 부서가 요구된다. ‘국토’와 ‘교통’을 구분해 역할을 달리해야 한다. 부동산에 대한 국민적 관심사와 중요성을 감안하면 일명 ‘국토주택부’로 나누어 전문성을 태우고 당연히 교통과 자동차는 한 묶음으로 해 미래 지향적인 모빌리티를 추구한다는 측면이 중요하다. 자동차 및 교통 분야는 국내 경제의 가장 중추적인 미래 먹거리고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어 부수적인 영역이 아닌 중추 영역으로 재정립해야한다. 미래의 융합적인 역할을 고려하면 당연히 핵심 중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부수적인 역할로 한계가 매우 컸다. 교통은 OECD국가 중 아직도 후진적이고 낙후된 상황이며 국민의 일상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핵심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른바 ‘미래 모빌리티부’도 좋을 것이다.
말 많은 ‘여성가족부’도 ‘양성평등부’나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가족의 중요성과 결혼과 미래 아이들을 고려하면 교육과 가족을 합쳐 ‘교육가족부’로 하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교육부의 역할도 대학 등 교육기관에 대한 군림이 아닌 조율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 교육 환경이 더욱 나빠지면서 전국 대학의 약 30%가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에서 교육부의 재정지원 사업으로 대학을 훈련시키는 전 근대적인 획일적인 정책이 아닌 대학 자율을 보장하고 능동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역할이 가능하도록 분위기 조성과 조연 역할을 하는 것이 교육부이기 때문이다. 입시 정책의 경우도 수시로 바뀌는 것이 아닌 백년대계를 생각하는 길게 멀리 보는 시야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부는 이런 대학 등 교육기관의 관리감독과 성장을 도우는 역할이 필요하지 군림하지는 말아야 한다. 도리어 수십 년전의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가 가장 최적의 모델이라고 느끼는 것은 그 만큼 현실의 입시제도는 심각하다는 것이다. 최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사례를 보면 얼마나 현재의 입시제도가 부실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천재를 인정하고 큰 재목으로 키우는 제도가 필요하지 정상을 밀어서 골짜기를 메꾸는 교육정책은 미래가 암울하기 때문이다. 하향 평등화가 조성되는 가장 낙후된 교육정책이기 때문이다. 획기적인 교육부의 역할과 개선이 필요한 만큼 새 정부에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뜻이다.
공무원들의 순환 보직제도 분명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 알만 하면 사라지는 순환보직제로 일선에서 느끼는 법적·제도적 한계점은 국내 산업계를 후진적으로 몰아가는 중요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정부의 법적인 규제를 유권해석하고 미래 지향적으로 개선해야 하지만 담당자가 다른 부서로 사라지면서 다시 시작하는 악몽은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분야별 ‘전문 공무원’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이것도 아닌 저것도 아닌 ‘유랑 공무원’을 만든다고도 한다. 한 곳에 꾸준하게 보직을 맡고 최소한의 기한을 채우는 실질적인 전문 공무원을 만드는 것도 핵심일 것이다. 부조리 등은 수시로 관리하면 청렴하면서도 전문적인 역할을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 현행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정부 역할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중앙부서의 재배치는 새로운 정부의 가장 중요한 시작점이다. 심혈을 기울이고 전문가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고 미래 지향적으로 첫 단추부터 제대로 시작하는 자세로 더욱 고민을 거듭하기 바란다. 아직 구시대적이고 남아있는 잔재가 큰 만큼 국민이 납득하는 부서 개편이 이 이루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