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화곡동에서 20년 넘게 열쇠집을 운영해 온 강희문(사진) 국제열쇠 사장의 말이다. 1997년부터 열쇠일을 해 온 그의 철칙은 ‘제품 숙지가 되지 않은 제품은 팔지 않는다’다. 인터뷰를 위해 그를 찾은 날에도 이미 4건의 출장 예약이 잡혀 있었다. 강 대표는 “은행 자물쇠 교체 예약부터 현관문 보조 장치 설치 작업 등 일이 많다”며 “내일은 강남으로 이사 간 손님이 디지털 도어락 수리를 해달라고 연락이 와 방문할 예정”이라며 웃어 보였다.
지하철 까치산역에서 국제열쇠까지 20여분 걸어오는 동안 열쇠 복사, 자물쇠 수리 등을 내건 간판은 숱하게 걸려있었다. 강 대표는 “디지털 도어락이 처음 등장했던 2000년대 초반에는 모두가 힘들었지만 나쁜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손님들에게 신뢰를 주니 다시 매출이 올라왔다”며 “열심히 한 덕에 이제는 열쇠만으로도 먹고 살 정도가 됐지만 다른 열쇠 전문점들은 열쇠수리 수요가 많이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에는 도어락 제조사와 함께 기술제휴도 했다. 그는 “디지털 도어락 제조업체인 혜강 시큐리티가 신제품을 만들 때 의견을 물어온다”고 전했다.
그는 주변의 다른 매장이 하나 둘 문을 닫는 가운데서도 꾸준히 열쇠일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을 “양심적으로 영업을 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는 “2000년대부터 여러 도어락 제품이 쏟아져 나왔지만 부품 공급이 되지 않는 믿을 수 없는 제품을 취급하지 않았다”며 “단순한 잔고장들이라면 전화가 걸려와도 굳이 수리비를 요구하지 않는다. 결국 급한 문제가 생기면 손님들이 다시 연락을 해오는 일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전화가 걸려오면 언제라도 문을 따러 나갈 수 있도록 24시간 전화기를 켜 놓는 것도 기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