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游客)’로 불리는 중국 해외 여행객이 1억 명을 돌파하고 명동의 화장품 전문점 매출을 다섯 배로 확대시키는 등 한국을 방문하는 유커들의 씀씀이는 가히 폭발적이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한국산’이라는 포장만으로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할 수는 없다. 이제 이들은 정해진 관광루트를 벗어나 점차 홍대 입구, 가로수길 등 한국의 상권지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소비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전히 쇼핑 비중이 높기는 하나, 화장품, 의류 소비는 점차 둔화되고 식음료 지출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유커들의 소비가 쇼핑에서 문화적 욕구 쪽으로 서서히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유커들의 문화소비 증가는 동전의 양면처럼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긍정적인 부분은 당장에는 쇼핑 이외에 관광 콘텐츠 수요로 이어지며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보다 훨씬 풍부한 관광 콘텐츠를 보유한 유럽으로 유커들의 발길이 늘어나며 한국 시장에 위기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제 우리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여행객들만을 대상으로 한 판매가 아닌, 중국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상품판매로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패션상품과 이미용품은 문화 콘텐츠와 연결해 판매될 수 있는 대표적인 카테고리이므로 이에 대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지에서 그들의 생각을 더 읽고 트렌드를 제시하며 이에 맞는 상품을 제공해야 한다.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우리의 우수한 상품과 파워 콘텐츠를 결합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끌어내는 것이다. 즉 K팝과 드라마를 활용한 모델 기용이나 광고, 또는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 중국 리메이크 버전의 한국 상품 PPL등과 같은 상품과 한국 파워 콘텐츠를 결합하는 것이다. 작게는 명동이나 가로수길 스케치를 통한 상품 소개, 한국 셀렙이 출연하는 홈쇼핑 방송, 한국에서 유행하는 헤어 스타일링을 소개하는 헤어 기기 판매도 한류의 활용이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있는 휴롬 원액기 역시 한국의 맷돌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쥬서기도 한국 파워 콘텐츠로 볼 수 있다.
한류의 매력은 한국의 문화와 한국적 정서를 다양하게 표출하는 데에 있다. 한국 상품과 ‘파워 콘텐츠’ 한류의 결합은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고 당장 가시적인 성과가 가능한 영역이다. 한중FTA가 체결되어 그 동안 중국 진출의 걸림돌이었던 이미용품 위생허가 요건이 대폭 간소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철저한 현지 시장 정보와 한국형 파워 콘텐츠로 무장한 우리 브랜드로 현지상품과 경쟁한다면 중국 시장의 공략은 그리 어렵지만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