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최근 감독당국이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 충당금 적립을 권고했는데 단기 실적 영향은 확실히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비용처리가 두 번 이뤄질 수 없는 만큼, 건전성 악화를 우려한 대손 비용 인식은 선제적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법인세 효과를 감안하면 부담도 크지 않다”면서 “부실에 대해서는 연체율이, 그리고 연체율에 대해서는 신용카드 이용금액 증가율이 선행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주가 측면에서 대비할 시간은 충분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시 부동산 PF대출은 대부분 중소기업 대출로 분류됐는데 가계대출 연체 상승도, 벽산건설 등 건설사 도산과 맞물린 집단 대출 연체 영향이 컸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 은행들의 부동산 PF대출은 주로 증권사를 통한 유동화 증권 발행으로 전환됐고 가계 및 소호대출의 경우, 심사가 강화돼 왔다. 이 연구원은 “지금은 은행이 부동산PF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 않고 집단 대출 취급 추이도 과거와 다르다”면서 “자영업자 및 가계대출에는 연체율과 소비동향이라는 선행지표가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