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반도체는 워낙 종류가 다양해서 설계 업체, 제조에선 전공정 업체와 후공정 업체, 마지막 테스트 업체까지 모두 따로따로 분업을 하고 있어서 모든 박자가 딱 맞아 떨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 ‘배진솔의 전자사전’에서는 시스템 반도체 분업 체계에 대해 알아보고 그 분야의 1인자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데이터 저장 역할을 하는 메모리 반도체는 제조사가 설계부터 제조, 후공정 마무리 작업까지 마쳐 고객사에 전달합니다. 반면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각 고객사들이 원하는 입맛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데요. 다양한 설계자산을 가지고 아이디어를 내서 반도체 회로를 그려내는 반도체 설계 작업을 하는 곳이 팹리스(Fabless)입니다. 말 그대로 제조 공장은 없이 아이디어로 설계하는 곳이죠.
그 다음 ‘디자인 하우스’입니다. 디자인하우스는 팹리스와 반도체를 위탁 생산해주는 ‘파운드리’ 사이의 연결다리입니다. 팹리스가 그린 설계도를 파운드리 업체가 생산할 수 있도록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은 외주 생산을 맡기는 팹리스 업체들에게는 ‘기술 유출’에 대한 불안을 잠식시켜준다거나, 중개사인 디자인하우스에는 직접 지분 투자도 하는 등 전략적으로 생태계를 잘 조성해나가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결국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는 이런 업체들이 규모와 자금력 면에서 탄탄해지고 윈윈(Win-win)하면서 선순환을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
파운드리는 독보적으로 대만의 TSMC가 약 55%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그 뒤를 쫓아 17%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디자인 하우스 순위는 대만의 파운드리 기업인 TSMC가 GUC에 투자하면서 든든한 조력자가 됐습니다. 또 대만의 패러데이 테크놀로지도 중소형 칩 업계의 맞춤형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가온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하나텍 등이 디자인 하우스 순위권에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각 국가들과 ‘주종관계’가 아닌 ‘파트너 관계’로 생각하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생태계가 제대로 형성돼야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죠.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할 일은 산업 방향성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를 넓히고 인재양성을 하며 산업 생태계를 마련해주는 것”이라며 “정부에서 주목할 점은 이 지점이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 기업이 협력할 상대가 아니라면 고객사들은 얄짤없이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 TSMC 같은 곳으로 눈을 돌린다”며 “현실적으로 산업생태계를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