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제약·바이오 전문 특허법인인 정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의 김순웅 대표 변리사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신약개발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면서도 정작 신약에 대한 특허관리에 있어서는 여전히 소홀하다고 한탄했다.
김대표는 “다국적 제약사들은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더라도 관련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권의 권리범위를 최대한 넓히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며 “이들은 특허 기술에 대한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여러 건의 특허권을 동시에 확보해 경쟁사들의 진입을 원천차단하는 전략을 편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국내 제약사들은 신약을 개발하더라도 핵심기술에 대해 1~ 2개 특허권만 확보하는 데 그쳐 특허 방어벽이 허술한 실정이다”고 그는 비교했다.
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국내 특허법인 가운데 최다규모인 연간 600여건의 제약·바이오 분야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특허출원은 물론 IP(지적재산권)사업화, 기술가치평가, IP-연구개발(R&D) 전략, 특허기술 중개 등까지 그 활동범위가 넓다.
전체 변리사 12명 중 제약·바이오, 화학 등 관련 전문분야를 전공한 변리사만 9명에 달하며 전체 직원 50여명이 근무한다. 국내 최대규모다. 김대표 자신도 서울대 수의과대학 및 대학원을 나와 동대학 치과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분야 전문 베테랑 변리사다.
“기존 전통적 대형 제약사보다 오히려 바이오벤처들이 특허전략을 더 치밀하게 짠다. 기술력 있는 바이오벤처들은 기술개발 초기단계부터 전문 변리사들과 함께 조율하면서 전체적 특허 포트폴리오를 수립, 집중관리한다.”
“한미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되면서 허가-특허연계제도가 시행된 이후 제약분야의 특허소송이 급증하고있다. 이는 만료되는 오리지널약에 대한 특허권 무효소송을 통해 복제약 독점권을 획득하고자 하는 국내기업이 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그는 국내 제약사와 다국적 기업간 복제약 개발을 둘러싼 특허심판 및 소송이 급증하면서 연간 제약분야 특허소송건수가 3000건을 넘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제약특허는 효능이 있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거나 발견해 물질특허를 확보해야 제대로 보호받을수 있다. 기존 물질을 새로운 방법이나 기술로 만드는 공정을 기반으로 한 제조방법 등의 ‘방법 특허’는 사실상 그 권리주장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김대표는 아직도 상당수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물질특허보다 방법특허를 중시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제조방법특허는 만드는 방법을 조금만 달리해도 특허를 회피할수 있을뿐 아니라 권리자 입장에서 침해사실을 입증하기가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미국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제약·바이오업체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있던 천연물질에서 효능을 발견하면 특허권을 보장해주는 여타 국가와 달리 유독 미국은 천연물질 특허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이 천연물질 특허를 인정하지 않게 된 데는 미국 유명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있다고 배경에 있다고 소개했다.
이 미생물 검사법에 대한 특허무효소송에서 결국 미국 대법원은 특허권을 폐지해 검사비용을 대폭 낮출수 있게 해야 한다는 시민단체의 손을 들어줬다. 이 결과 미국에서는 인체내 존재하는 미생물,유전자,단백질등 천연물에 대해서는 특허권을 인정하지 않는 나라로 자리하게 됐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반면 한국을 비롯한 다른 주요 국가에서는 종전의 심사입장을 변경하지 않고 특허권을 허여하고 있다.
김대표는 한때 줄기세포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던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와의 각별한 인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서울대 수의대 석사과정에서 공부할때 황 전교수를 지도교수로 모시며 수의학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수 있었다.
요즘도 김대표는 황 전교수와 가끔씩 소식을 주고받으며 지내고 있다고 귀띔했다. 황 전교수는 최근 중국, 중동지역 등 그의 연구력을 인정해주는 해외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러시아 과학자들과는 4만여년 전 망아지 사체에서 혈액을 채취해 이를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몰두하고 있다고 그의 근황을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