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5일 “지난 4분기 중국정부의 정책이 동행지표 하락에 전혀 제동을 걸지 못했다”며 “정책 실효성에 대한 바로미터로 제시한 3대 지표(△신용지표 △사회융자총액+인프라 △소비심리) 모두 4분기에도 유의미한 개선이 없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동기대비 0.9%(예상 1.6%, 전월 2.7%)을 기록하며 내수와 수출의 동반 위축을 시사했고, 12월 수출입 역시 2016년 이후 최초로 동반 감소세를 보였다.
여기에 자동차 가전 등 경기소비재 판매는 투자, 소비심리 급랭, 디레버리징 후폭풍, 단가인하 여파 등으로 2009년 이후 첫 감소세를 기록하며 충격을 줬다는 것. 이는 1분기 제조업 경기와 기업 실적을 깊은 수렁으로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특히 “현재 경기 둔화 속도를 볼때 무역협상의 결과와 상관없이 상반기에는 내수경기 바닥 확인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 꾸준히 단행될 전망”이라며 “연초이후 인프라 투자 정상화 행보(지방채 조기발행, 1조2000억위안대 인프라 투자 승인)는 물론 금융위기이후 최초로 내구재 소비 촉진책(하향, 이구환신 정책) 및 부동산 규제의 실질적 완화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역협상의 순조로운 행보로 인해 1월이후 위안화 환율의 가파른 절상(1.6%)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미중 금리차와 달러강세 완화 외에도 1분기 위안화 수급 불안을 뛰어넘는 ‘인위적 개입’이 가세한 결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1분기 중국 경기와 기업실적은 예상보다 더 나빠질 수 있지만, 동시에 정책대응 행보와 대외 환경의 개선도 예상을 웃돌 수 있다”며 “3~4월중 정책 효과를 통해 경제지표와 기업실적 하향조정이 마무리되기 전까진 추세적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다만 “2분기 경기, 실적의 바닥확인과 긍정적 수급 이벤트(외인, 기관), 무역분쟁 관련 할인 요인 완화를 감안할 때 반등의 에너지는 계속 축적되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점진적 비중확대 의견을 계속 유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