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전략사령부 산하조직인 JSPoC는 전세계에서 우주물체 정보를 총괄하는 곳으로 한국은 이곳에서 관련 정보를 받는다.
미래부는 이에 따라 즉시 미래부와 항공우주연구원연, KAIST 인공위성 연구센터, 천문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합동대응팀을 조직해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합동대응팀은 금일 오후 7시쯤 JSpOC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위성이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오후 11시쯤 교신을 통해 정확한 충돌여부를 확인한 뒤 상황별로 대응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그간의 궤도정보 관측경험에 비추어 보면 (우주파편의) 비행거리가 충돌위험이 있을 정도로 가까워질 가능성은 적지만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m이고 무게는 170kg인 소형위성이다. 이 위성은 적외선 카메라와 지구관측 영상분광기 등을 탑재해 600km 상공에서 우주와 지구의 적외선 영상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대기 관측과 산불 탐지 등도 수행한다.
수명은 2년으로 지난 3월부터 정상 임무수행에 들어간 상태였다.
실제 2009년에는 미국 이리듐 33호 위성과 러시아 코스모스 2251호 위성이 충돌했으며 2013년에는 러시아 과학위성과 중국 위성잔해물 충돌로 러시아 위성이 작동불능되기도 했다. 한국의 천리안 위성도 지난 2011년 러시아 라두가 위성과 충돌위험이 발생해 회피기동을 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