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앱은 2016년 국세청이 ‘주류 양도·양수 방법에 대한 고시’ 제11조 1항을 개정에 따라 음식 가격이 넘지 않는 선에서 주류 배달을 할 수 있다. 이에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는 법 개정 직후인 2016년부터 주류 배달을 해오고 있다.
쿠팡이츠는 2019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에 주류 판매를 하지 않았다. 배달 파트너와 고객 간의 분쟁이 생길 수 있고, 단 건 배달의 속도도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류가 포함된 배달의 경우에는 신분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고객과 마찰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에는 배달 파트너가 주류를 음식점으로 다시 반품까지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쿠팡이츠 가맹점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기본 음식 배달만 하면 수수료를 빼고 남는 돈이 크지 않다. 하지만 주류를 판매할 경우 부수익을 올릴 수 있어 수수료 부담이 줄어든다. 소주를 예로 들면 1병을 1650원에 납품받아 4000원에 판매할 경우 병당 2350원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쿠팡은 쿠팡이츠 론칭 당시 상장을 앞두고 있었기 때문에 윤리경영 차원에서도 주류 배달을 하지 않았다. 소비자와 마찰을 일으켜 봐야 좋은게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작년 3월 상장 이후에는 시장에서 성장만큼 수익성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실제 쿠팡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자 현재 주가는 공모가인 35달러에 한참 못미치는 약 20달러까지 하락했다.
또 배민1, 요기요 등이 주류 배달을 오랫동안 하면서 신분증을 확인하는 절차에 대해서 소비자의 부담도 예전보다 줄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쿠팡이츠는 경쟁사 대비 일반인 배달 파트너가 많기 때문에 주류 배달 초기에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대면에 부담을 느낀 일반인 배달 파트너의 이탈로도 이어질 수도 있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2년간 지속된 코로나19 기간 집에서 술을 마시는 ‘홈술족’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수요가 그만큼 커졌다”며 “주류 배달이 미성년자 판매 등때문에 문제는 있지만, 배달 수요가 그만큼 증가해 수익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